
보고서경제인문사회연구회 녹색성장 종합연구 총서KMI 기본연구 11-02-642011-10Future port development strategies based on green technology and their effects
녹색기술 기반의 미래 항만 개발전략과 효과 분석: 컨테이너 터미널을 중심으로
- 저자
- 최상희
- 단체저자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발행사항
- 서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1
- 형태사항
- xiii224p. 삽화도표 25cm
- 총서사항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녹색성장 종합연구 총서 KMI 기본연구 11-02-64 2011-10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211-214)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1688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168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Executive Summary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범위와 방법
4. 선행연구의 검토
1) 주요 선행연구
2) 주요 시사점
제2장 녹색항만 개념과 실태 분석
1. 녹색항만의 개념과 범위
1) 녹색항만의 개념
2) 녹색항만의 범위
2. 국내외 녹색항만 정책 분석
1) 우리나라 녹색항만 정책
2) 해외 녹색항만 정책
3. 국내외 녹색항만 구축실태
1) 우리나라 녹색항만 구축실태
2) 해외 녹색항만 구축실태
제3장 항만 녹색기술 현황 및 발전전망
1. 녹색기술의 정의와 분야
1) 녹색기술의 정의
2) 녹색기술 분야
2. 분야별 녹색기술 현황 및 발전전망
1) 장비분야
2) 시설분야
3) 운영분야
제4장 녹색항만 구축을 위한 모델 수립
1. 녹색항만 구축 모델 수립 방향
2. 녹색항만기술 분류모형
1) 3차원 모델에 의한 녹색항만기술 분류모형
2) 모형에 따른 녹색항만기술 분류
3. 녹색항만기술 탄소저감기여도 산출모형
4. 녹색항만기술 선정모형
1) 녹색기술 우선순위 평가기준
2) 모형 수립 방향
3) 녹색항만기술 우선순위 평가모형
제5장 녹색항만기술 실증분석 및 선정
1. 개요
2. 평가기준 및 전제조건
1) 평가기준
2) 기술선정을 위한 표준터미널 선정
3) 항만 구성요소별 탄소배출 비중
3. 녹색기술별 원단위 산정
1) 하역장비 원단위 산정
2) 시설물 원단위 산정
3) 운영시스템 원단위 산정
4) 소결
4. 대상기술 분석 및 적용기술 선정
1) 분석개요
2) 최적 기술조합
5. 녹색기술을 적용한 녹색항만 표준모델
제6장 미래 녹색항만 구축효과 분석 및 개발전략
1. 미래 녹색항만 구축효과 분석(경제적 효과 분석)
1) 기본 가정
2) 유형1: 부산 신감만터미널(C/C-YT-RTGC시스템)
3) 유형2: 부산신항 한진터미널(C/C-YT-RMGC시스템)
4) 경제성 분석 결과
2. 녹색기술 기반 미래 녹색항만 개발전략
1) 녹색기술 기반의 녹색항만 중장기 개발전략
2) 녹색기술 기반의 녹색항만사업 추진전략
3) 고효율 미래 녹색기술 개발전략
3. 녹색기술 기반 녹색항만 개발 추진 로드맵
1) 개요
2) 추진 로드맵
제7장 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2. 정책제언
1) 녹색성장을 위한 녹색항만산업 실용화 중장기계 수립 추진
2)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제 대상에 편입
3) 2012년 녹색기술 인증제의 보완 및 기술 개발 연구
4) 녹색기술 연구개발사업 추진
5) 정부의 녹색투자 우선순위 결정에 녹색기술 선정모형의 활용
6) 항만 온실가스 모니터링 센터 구축
참고문헌
부록
부록 1. 최적 기술조합 산출결과(Case 1: 신감만터미널, 1차분석)
부록 2. 최적 기술조합 산출결과(Case 1: 신감만터미널, 2차분석)
부록 3. 최적 기술조합 산출결과(Case 2: 신감만터미널, 1차분석)
부록 4. 최적 기술조합 산출결과(Case 2: 신감만터미널, 2차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