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AURI 기본연구보고서 2020-08Public Building Design Criteria for Groups Sensitive to Fine Dusts
미세먼지 민감군을 위한 공공건축물 시설 계획 기준 연구
- 단체저자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 발행사항
- 세종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20
- 형태사항
- 233p. 도표 27cm
- 총서사항
- AURI 기본연구보고서 2020-08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77-186)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6224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622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목적 10
2. 연구범위 및 방법 11
1) 연구 대상 및 범위 11
2) 연구방법 15
3) 연구수행과정 18
3. 선행연구 검토 19
1) 관련 선행연구 검토 19
2) 본 연구의 차별성 22
제2장 미세먼지 관련 제도 현황 분석 및 문제점 도출 25
1. 미세먼지 관련 정책 기본 방향 및 법제도 현황 분석 25
1) 미세먼지 관리 종합계획(2020~2024) 25
2)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2020~2024) 31
3) 미세먼지 관련 법제도 개정 현황 분석 34
2. 국내 미세먼지 관련 대응 매뉴얼 시행 현황 및 한계 분석 38
1) 통합 고농도 미세먼지 대응매뉴얼 분석 38
2) 어린이집 고농도 미세먼지 대응매뉴얼 분석 43
3) 학교시설 고농도 미세먼지 대응매뉴얼 분석 47
4) 미세먼지 대응 매뉴얼 이행 현황분석 50
3. 미세먼지 저감 지원 프로그램 현황 및 한계 분석 53
1) 서울특별시 지원 사업 53
2) 세종특별자치시 지원 사업 55
3) 기타 지자체 지원 사업 58
4) 주요성과 요약 및 분석 63
4. 미세먼지 정책 관련 인지도 및 만족도 분석 65
1) 미세먼지 관련 제도 및 정책 인지도 현황 분석 65
2) 미세먼지 관련 정책 만족도 및 평가 65
5. 소결 68
제3장 미세먼지 민감군 시설 건축물 현황 분석 및 시사점 도출 71
1. 미세먼지 민감군 관련 시설의 계획 기준 및 설비 기준 분석 71
1) 어린이집 계획 기준 및 설비 기준 71
2) 학교시설 계획 기준 및 설비 기준 73
3) 미국학교 공기정화설비 가이드라인 분석 77
4) 시설별 계획 기준 항목 비교 분석 및 종합 분석 80
2. 미세먼지 민감군 관련 시설 현장조사 및 개선 요구사항 분석 84
1) 실내공기질 현황 및 공기질 관리 현황 분석 84
2) 실내공기질 데이터를 활용한 사전조사 및 현장조사 분석 89
3) 미세먼지 설문을 통한 청정구역 요구도(우선 적용 순위) 분석 105
4) 현장조사 및 개선 요구 사항 종합 분석 107
3. 미세먼지 저감 및 회피 관련 사례 기술 분석 109
1)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사례 분석 109
2) 미세먼지 회피를 위한 사례 분석 115
4. 소결 126
제4장 미세먼지 민감군 시설 계획 기준 마련 129
1. 시설 계획 기준의 기본방향 129
1) 개요 및 기본방향 129
2) 계획 기준 도출 방법 131
2. 시설 계획 기준 마련 133
1) 시설 계획 기준 구분 및 세부 항목 설정 133
2) 시설 계획 기준 필요성 및 항목별 중요도 분석 133
3) [1단계] 시설 계획 기준 및 세부 내용 초안 134
4) [2단계] 시설 계획 기준 및 세부 내용 구체화 138
3. 시설 계획 기준 효과 예측을 위한 시뮬레이션 143
1) 시뮬레이션 개요 143
2) 시뮬레이션 대상 143
3) 시뮬레이션 방법 143
4) 네트워크 시뮬레이션 156
4. 소결 169
제5장 결론 173
1. 연구 결과 요약 173
2. 결론 및 향후 연구 과제 175
1) 범부처 통합 시설 계획 기준 마련 175
2) 미세먼지에 대한 중장기적이며 근본적인 대응방안으로 시설 계획 기준 마련 176
3) 미세먼지 민감군 시설 특성에 맞는 구체적인 설비 성능 조건과 정보를 제공 176
4)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과제 176
참고문헌 177
SUMMARY 187
부록. 미세먼지 민감군을 위한 공공건축물 시설계획 기준 설문조사 내용 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