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KEI 연구보고서 2022-18Land Management Measures for Achieving Carbon Neutrality: Focusing on Land Use Changes and Environmental Welfare of Vegetation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국토관리 방안 연구: 토지이용 변화와 식생의 환경복지 기능을 중심으로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7363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736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요 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추진체계
제2장 탄소중립과 토지기반 흡수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
1. 탄소중립과 토지이용 및 생태계서비스
2. 탄소중립 및 흡수원 관련 국내외 관련 동향
3. 탄소중립을 고려한 국토관리 추진 기반
제3장 토지이용과 온실가스 배출·흡수 및 환경복지
1. 토지이용 부문 온실가스 배출·흡수 현황
2. 토지기반 흡수원의 생태계서비스: 온실가스 흡수·저장 및 환경복지 기능
제4장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국토관리 방안
1. 국토·환경 관리를 통한 토지기반 탄소흡수원 제고 방안 및 전략
2. 탄소중립 실현에 필요한 토지기반 정책 추진을 위한 저변 확보
제5장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부 록
Ⅰ. IPCC LULUCF 분야 온실가스 배출·흡수량 산정지침
Ⅱ. 탄소 흡수·저장량 평가 모델 비교 검토
Ⅲ. 시범대상지 사례 분석: 흡수원의 탄소 흡수·저장 및 환경복지 기능
Executive Summary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