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KEI 녹색성장연구 2010-17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수자원 네트워크 구축방안 Ⅰ
- 저자
- 이진희
- 단체저자
- 한국환경정책평가원
- 발행사항
- 서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0
- 형태사항
- 250p. 26cm
- 총서사항
- KEI 녹색성장연구 2010-17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0779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077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 내용 및 추진체계
제2장 대상 유역의 물관리 현황 조사
1. 대상 유역의 개요
가. 유역의 개황
나. 유역의 특성
2. 수리시설물 현황
가. 댐 현황
나. 농업용 시설물 현황
3. 대상 유역 물이용 특성
가. 생활 및 공업용수
나. 농업용수
다. 하천유지유량
4. 수리권 현황
가. 우리나라의 수리권 제도
나. 수리권 허가 현황
제3장 유출 모형 및 유역 물관리 모형 구축
1. 유출 모형의 구축
나. 모형의 구축
다. 모형의 검·보정
라. 자연유량의 산정
2. 유역 물관리 모형의 구축
가. 유역 물관리 모형의 선정
나. 유역 물관리 네트워크 구축
제4장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수자원 시스템 취약성 평가
1. 기후변화 시나리오
가.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작성
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유출량 모의
2. 수요량 시나리오
가. 미래 용수 수요량 및 수요 패턴 변화 시나리오의 작성
나. 환경유량의 영향 검토
3. 기후변화에 의한 수자원 시스템 취약성 평가
가. 다목적 댐의 영향 평가
나. 농업용수의 영향 평가
다. 하천유지용수의 영향 평가
라. 생·공용수 영향 평가
제5장 4대강 살리기 사업과 지류하천 환경 개선
1. 4대강 살리기 사업의 개요
가. 신규 댐 건설 및 다기능 보의 설치
나. 농업용 저수지의 둑높임 사업
2. 농업용 저수지 둑높임 사업과 지류하천의 영향
가. 지류하천의 농업용 시설물 운영 현황
나. 농업용 저수지 둑높임 사업의 영향 평가
제6장 결론
1. 요약 및 결론
2. 2차년도 연구계획
참고문헌
<부록 1> 낙동강 유역 수리시설물 현황 관련 자료
<부록 2> 낙동강 유역 생활·공업용수 수요량
<부록 3> 낙동강 유역 점용허가 현황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