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보고서

녹색해운 전망과 대응전략

저자
임종관
발행사항
서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0
형태사항
247p. 26cm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P420882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P42088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Executive Summary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방법과 범위 1) 선행연구 검토 2) 연구의 방법 3) 연구의 내용 및 범위 제2장 환경 관련 국제해운규범과 녹색해운 시사점 1. 발효 중인 규범의 주요 내용 1) MARPOL 73/78 2) 기타 환경 관련 국제해운협약 2. 미발효 규범의 주요 내용 1) 선박평형수 관리협약 2) 선박재활용협약 3. 논의 중인 규범의 주요 내용 1) 배경 및 주요 내용 2) 주요 논의사항 및 결정사항 3) 쟁점사항 4. 환경 관련 국제해운규범의 전망과 시사점 1) IMO의 환경 관련 해운규범 제정활동 전망 2) 시사점 제3장 주요 국가의 환경 관련 해운정책 동향과 녹색해운 시사점 1. EU 1) 환경 관련 EU의 해운정책 2) IMO협약과 EU 정책의 차이점 3) EU의 녹색해운 관련 비즈니스 개발 동향 4) 선박, 선박운항, 해운거래에 미치는 영향 2. 덴마크 1) 환경 관련 덴마크 해운정책 2) 덴마크의 Green Ship of the Future 프로젝트 3) A. P. Moller Maersk Group의 녹색해운 대응사례 3. 미국 1) 환경 관련 미국의 해운정책 2) IMO협약과 미국 정책과의 차이점 3) 선박, 선박운항, 해운거래에 미치는 영향 4. 일본 1) 환경 관련 일본의 해운정책 2) IMO협약과 일본 정책의 차이점 3) 녹색해운 관련 비즈니스 개발 동향 4) 선박, 운항, 해운거래에 미치는 영향 5. 중국 1) 환경 관련 중국의 해운정책 2) 민간부문 대응사례 3) 중국 녹색해운 발전방향 6. 시사점 제4장 녹색해운의 실체와 발전 전망 1. 녹색해운의 개념과 의의8 1) 녹색해운의 개념 2) 녹색해운의 정의 3) 녹색해운의 의의 2. 녹색해운의 선박운항질서 특징과 발전전망 1) 녹색해운의 선박운항질서 특징 2) 녹색해운의 선박운항질서 발전전망 3. 녹색해운의 선박 특징과 발전방향 1) 녹색해운의 선박 특징 2) 녹색해운의 선박 발전방향 4. 녹색해운의 거래시스템 특징과 발전전망 1) 녹색해운의 거래시스템 특징 2) 녹색해운의 거래시스템의 발전전망 5. 녹색해운의 새로운 비즈니스 특징과 발전전망184 1) 선박 관련 새로운 비즈니스 2) 선박운항 관련 새로운 비즈니스 3) 선박거래 관련 새로운 비즈니스 제5장 우리나라 녹색해운 준비상황과 문제점 1. 민간기업의 녹색해운 준비상황 1) 설문조사방법 및 설문대상업체 개요 2) 녹색해운 관련 국제규범 인지수준 3) 녹색선박‧운항‧거래 수준 인지수준 4) 선사 및 선박관리업체 장비‧인증서‧서류 구비 수준 5) 녹색해운에 대한 기업별 대응 수준 6) 녹색해운 준비 및 녹색선박 개발의 문제점 7) 녹색해운 준비 및 녹색선박 개발 시 정부지원 요청사항 8) 종합평가 2. 정부의 녹색해운 준비 상황 1) 정부의 IMO 대응 조직 현황 2) 녹색해운 관련 국제규범에 대한 국내법 수용 현황 3) 녹색해운 관련 정부 R and D 지원 현황 3. 녹색선박 개발 측면의 준비상황 4. 인력 측면의 준비상황 5. 문제점 제6장 결론 1. 결론 1) 새로운 패러다임 녹색해운 2) 무결점운항 또는 무공해운항을 지향하는 녹색해운 3) 무공해선박을 지향하는 녹색선박 4) 새로운 해운 비즈니스 기회인 녹색거래 5) 녹색해운에 대한 국가적 대응체제 구축 필요 2. 녹색해운 구현을 위한 정책 제언 1) Green Database System 구축 2) MBM 기반 육성 3) 녹색선박 검사사업(Green Ship Inspection) 육성 4) 선박수리 육성 5) 한국녹색해운연구협의회(가칭) 구성 6)「해양환경관리법」정비 참고문헌 부록 : 해양 환경오염 관련 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