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STEPI 정책연구 2010-09
한국의 경제발전을 선도한 과학기술의 역할과 개도국에의 시사점
- 저자
- 홍사균
- 발행사항
- 서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0
- 형태사항
- 319p. 24cm
- 총서사항
- STEPI 정책연구 2010-09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0692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069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요약
제1장 서론
제1절 추진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내용 및 범위
제2장 경제발전과 과학기술과의 관계: 이론적 검토와 분석틀
제1절 경제발전에 있어서 과학기술의 역할
1. 경제발전에 있어서 과학기술의 중요성
2. 기술혁신과 경제발전에 대한 이론적 검토
제2절 개발도상국의 경제발전과 과학기술
1. 개발도상국의 경제발전전략
2. 개발도상국의 과학기술발전전략
제3절 개발도상국의 기술발전모형: 이론적 검토
1. 개발도상국의 기술발전과정모형
2. 국가혁신체계 모형
제4절 분석 틀
제3장 기술도입을 통한 공업화 추진
제1절 경제·사회적 배경과 기술개발 전략
1. 수출주도형 경공업의 육성
2. 경공업 중심에서 중화학공업 중심으로 전환
제2절 부문별 세부 추진전략
1. 정부 정책
2. 인력양성 및 교육·훈련
3. 재원조달 및 기술금융
4. 지원제도 및 인프라
5. 사회·문화적 환경
제3절 기술개발 활동
1. R&D 투자 및 인력
2. 정부 R&D 활동
3. 연구주체별 R&D 활동
4. 산학연 협력
5. 국방 R&D 활동
6. 국제과학기술협력
제4절 주요 성과
제4장 선진기술의 내재화를 통한 산업발전
제1절 경제·사회적 배경과 기술개발 전략
1. 중화학공업의 구조조정과 기술드라이브 정책 추진
2. 기능별 산업정책으로의 전환과 산업기술정책의 추진
제2절 부문별 세부 추진전략
1. 정부 정책
2. 인력양성 및 교육·훈련
3. 기술금융
4. 지원제도 및 인프라
5. 사회문화적 환경
제3절 기술개발 활동
1. R&D 투자 및 인력
2. 정부 R&D 활동: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진
3. 연구주체별 R&D 활동
4. 산학연 협력
5. 국방 R&D 활동
6. 국제과학기술협력
제4절 주요 성과
제5장 독자적 기술역량 확충을 통한 산업 고도화
제1절 경제 사회적 배경과 기술개발 전략
1. 첨단기술산업의 육성
2. 새로운 성장동력의 창출
제2절 부문별 세부 추진전략
1. 정부 정책
2. 인력양성 및 교육·훈련
3. 기술 금융
4. 지원제도 및 인프라
5. 사회·문화적 환경
제3절 기술개발 활동
1. R&D 투자 및 인력
2. 정부 R&D 활동: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고도화
3. 연구주체별 R&D 활동
4. 산학연 협력
5. 국방 R&D 활동
6. 국제과학기술협력
제4절 주요 성과
제6장 종합 분석 및 평가
제1절 기술개발 전략에 대한 평가
1. 후발주자의 기술개발전략
2. 산업화과정에서 기술수요 대응전략
3. 한국 기술개발전략에 대한 평가와 과제
제2절 국가기술혁신체계 진화과정에 대한 평가
1. 부문별 세부 추진전략
2. 연구주체별 연구개발 활동과 협력
제3절 경제발전에 대한 과학기술의 기여도 평가
제7장 개발도상국에의 시사점
제1절 한국의 과학기술혁신체계의 특징
1. 국가기술혁신체계의 불균형
2. 불균형 성장전략과 균형 성장전략
제2절 한국 과학기술정책의 특징
1. 한국형 과학기술혁신체계
2. 성과중심으로 본 한국 과학기술혁신활동의 특징
제3절 개발도상국에의 시사점
1. 정치적 리더십
2. 연구개발 투자의 지속적 증가
3. 수출진흥전략의 제도적 완비성
4. 양질의 인력공급
5.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괴리
6. 산학연 연계
7. 기술시장 활성화
8. 천연자원의 존재
9. 사회·문화적 여건
10. 국제 과학기술협력
참고문헌
SUMM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