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0719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071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범위와 방법
3.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차별성
4. 보고서의 구성
제2장 유로존의 성립과정
1. 유럽의 경제통화동맹(EMU)에 관한 논의
가. 브레턴우즈 체제하에서의 EMU 구상
나. 베르너 보고서
다. EMS의 구축
2. 통화통합의 발전
가. 들로어 보고서
나. 마스트리히트 조약
다. ERM의 위기와 극복
3. 유로존의 확대과정
가. 유로존의 출범
나. 출범 이후의 유로존 확대
다. 비유로존 EU 국가들의 유로존 가입 추진 현황
제3장 EMU 평가의 이론적 배경: 최적통화지대(OCA) 이론을 중심으로
1. 단일통화 사용의 편익과 비용에 관한 논쟁
가. 단일통화 사용의 편익
나. 단일통화 사용으로 인한 비용
2. EMU와 최적통화지대(OCA) 이론
가. 최적통화지대(OCA) 이론의 구성
나. 최적통화지대(OCA) 이론의 한계와 내생성
3. 최적통화지대(OCA) 이론이 EMU에서 갖는 의의
가. EMU는 최적통화지대인가?
나. OCA 이론이 EMU 형성에 갖는 의의
제4장 유로화 도입의 경제적 성과
1. 거시경제적 성과
가. 물가, 환율 및 금리
나. 경기 동조화
2. 교역 및 FDI 부문
가. 교역부문
나. 해외직접투자(FDI) 부문
3. 노동부문
가. 노동개혁
나. 노동생산성
다. 노동이동성
4. EU 금융시장 통합
가. 단기금융시장의 통합
나. 채권시장의 활성화
다. 은행시장 통합화
5. 유로화의 국제적 위상
6. 소결
제5장 남유럽 재정위기와 유로존의 문제점
1. 남유럽 재정위기의 진행과정
가. 글로벌 경제위기
나. 재정건전성의 악화
다. 남유럽 재정위기의 진행과정과 대응
2. 남유럽 경제위기의 원인
가. 공통적인 원인
나. 국가별 원인
3. 유로존의 구조적 문제점
가. 단일환율 사용으로 인한 불균형의 심화
나. 통화정책과 재정정책 간의 괴리
다. 제도적 지원책의 미비
4. 소결
제6장 결론: 향후 전망과 시사점
1. 구조적 문제점의 개선 방향
가. ‘유럽 학기’의 도입
나. EU 집행위원회의 신설‧강화된 규범제정 추진
다. EU 정상회의의 지원
2. 유로존 확대 전망
가. 유로화 사용국 확대계획
나. 국가별 준비사례 검토
다. 남유럽 경제위기가 미친 영향
3. 동아시아의 통화협력에 주는 시사점
가. 동아시아 통화협력의 최근 동향
나. 유로존 형성이 동아시아 통화협력에 주는 시사점
4. 맺음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