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0878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087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범위와 연구방법
1) 연구의 내용 및 범위
2) 연구추진전략 및 방법
4. 선행연구 분석
1) 해운ㆍ물류 분야 선행연구
2) 수산 분야 선행연구
3) 해양환경 분야 선행연구
5. 본 연구의 차별성 및 한계
1) 본 연구의 차별성
2) 본 연구의 한계
제2장 북극해와 기후변화
1. 북극해 현황과 특징
1) 북극의 위치와 범위
2) 북극의 기후와 생태
3) 북극의 인구
4) 북극해의 범위와 특징
2. 북극해 기후변화
1) 평균 기온 상승
2) 해빙량의 변화
제3장 북극해 관련 국제기구와 주요 규정
1. 국제기구
1) Arctic Council(북극이사회)
2) 국제북극과학위원회(IASC)
2. 북극해 관련 규정
1) 유엔해양법협약 : 북극해 관련 포괄적 규정
2) 북극해 해운(선박운항) 규정
3) 북극해 어업 관련 규정
4) 북극해 해양환경 규정
제4장 주요국의 북극해 주요 정책과 시사점
1. 북극해 연안국의 주요정책
1) 러시아
2) 미국
3) 캐나다
4) 노르웨이
5) 그린란드(덴마크)
6) 아이슬란드
2. 북극해 비연안국의 주요정책
1) 일본
2) 중국
3) EU
3. 주요국 정책비교 및 시사점.
1) 미국과 EU의 북극정책 분야별 비교
2) 국제동향의 정책적 시사점
제5장 북극해 개발 현황과 활용 실태
1. 북극해의 항로 및 인프라 개발 실태
1) 항로 개발
2) 항만 인프라
3) 파이프라인
2. 북극해의 수산자원 현황과 활용 실태
1) 수산자원 현황
2) 수산자원 개발
3. 북극해의 에너지 자원 현황과 활용 실태
1) 에너지 자원 현황
2) 에너지 자원(석유ㆍ가스) 개발 및 활용
4. 북극 연안국의 북극해 개발 현황 종합
제6장 우리나라 북극해 정책방향과 과제
1. 우리나라 극지정책 발전 경과와 주요 성과
1) 우리나라 극지정책 발전 경과
2) 주요 성과와 문제점
2. 우리나라 북극해 정책목표와 방향
1) 우리나라 북극해 정책목표
2) 우리나라 북극해 활용전략
3. 북극해 활용을 위한 정책과제
1) 북극해 정부조직 설치
2) 북극해 민간조직 활동 지원
3) 북극이사회에의 적극적 참여 및 기여
4) 북극 원주민 단체와의 교류 확대
5) 북극 관련 R&D부문의 국제 협력 기반 구축
6) 북극해 항로 상용화 대책 개발
7) 북극해 어업자원 활용 전략
8) 북극해 활용과 조선 산업 연계 전략
9) 북극해 에너지 자원개발 참여
4. 북극해 활용을 위한 선결과제
1) 환경 문제
2) 선박 운항 안전성 문제
3) 북극해에 대한 국제 Governance 체계 연구 강화
제7장 결론 및 정책 제언
1. 결론
2. 정책 제언
1) 북극해 전담 조직 신설
2) 북극해 중장기 종합 계획 수립.
3) 북극해 권역별 조사 및 대응전략 추진
4) 북극해 관련 산업별 비즈니스 개발
3. 정책 로드맵 및 입법 추진사항
1) 정책 로드맵
2) 입법 추진사항
참고문헌
부록
부록 1. 북극해 관련 약어
부록 2. 1991년 북극선언문(Rovaniemi Declaration)
부록 3. 북극이사회 워킹그룹(Working Group) 보고서 목록
부록 4. 북극 관련 기구ㆍ연구소 현황
부록 5. 러시아 북극해 항행규칙
부록 6. 미국의 북극정책 대통령 지침
부록 7. 유럽 의회의 북극정책 결의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