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0876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087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Executive Summary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동북아 물류중심항만정책 수립기조의 변화에 대응 필요
2) 우리 항만의 위기징후에 대한 대응방안 강구 필요
3) 글로벌 항만시장 확보경쟁에 대한 대응 시급
4) 글로벌 물류ㆍ제조거점 육성이 시급
5) 새로운 항만 부가가치 창출원 발굴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범위와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의 방법
3) 연구의 주요 내용
4) 연구의 기대효과
제2장 선진항만에 대한 개념 정립
1. 선진국ㆍ선진사회에 대한 전통적 개념
2. 선진국 분류기준
3. 서비스산업의 선진화정책 사례
4. 선진항만의 개념 정립
1) 선진국ㆍ선진사회의 개념 정립
2) 선진화 개념 정립
3) 항만의 선진화ㆍ선진항만 개념 정의
제3장 글로벌 항만 환경 변화와 주요국 항만정책
1. 글로벌 항만 환경 변화
1) 글로벌화의 지속ㆍ확대
2) GTO의 글로벌 네트워크 확대
3) 중국항만의 자립구조 강화
4) 초대형선 운항의 보편화 및 메가 캐리어의 협상력 증대
5) 항만물류시스템의 고도화ㆍ시스템화
2. 주요국 항만정책의 변화
1) 대권역 형성과 으뜸항만 육성정책
2) 동북아 항만권역의 분화
3) GTO 육성 강화 및 항만당국의 역할 변화
4) 종합항만건설과 항만관광객 유치
제4장 주요 항만정책의 현황과 문제점
1. 우리나라 주요 항만정책
1) 동북아 물류중심항만정책
2) 물류 부가가치 창출 정책
3) 글로벌 물류네트워크 구축정책
4) 종합물류기업 육성정책
5) 항만재개발 정책
2. 우리나라 주요 항만정책의 문제점
1) 우리나라 항만의 주요 문제점
2) 현행 중심항만정책의 한계
제5장 새로운 항만정책 방향 제시
1. 새로운 항만정책 방향
2. 새로운 항만정책방안
1) 비전 수립
2) 목표 설정
3) 추진원칙
제6장 세부과제별 추진방안
1. 동북아 으뜸항만 육성
1) 으뜸항만과 일반항만 등급 구분
2) 경쟁력 강화 정책
2. 항만배후단지의 글로벌 물류ㆍ제조 복합거점 육성
1) 글로벌 물류ㆍ제조 복합거점 육성의 필요성
2) 물류 부가가치 제고전략 강화
3) 임항형 산업클러스터 육성
3. 글로벌 터미널 운영사의 육성 및 터미널 운영사의 통합
1) 글로벌 터미널 운영사 육성의 필요성
2) 터미널 운영사 통합대안 및 장단점 분석
3) 통합 촉진방안
4) 향후 추진일정
5) 예상효과
4. 글로벌 항만시장 개척전략
1) 글로벌 항만시장 개척주체의 전환
2) 글로벌 항만 개척전략의 전환
3) 항만 간 국제협력체제 강화
5. 관광항만의 육성
1) 관광항만 육성의 필요성
2) 관광항만 육성방안
제7장 결론 및 정책 제언
1. 요약 및 결론
1) 선진항만 구현정책으로 방향전환 시기 도래
2) 국제적 관점을 도입한 항만정책 수립이 필수
3) 우리 항만의 위기징후 대응방안 모색이 시급
4) 초대형선 운항의 보편화와 투 포트 정책의 한계
5) 으뜸항만 육성을 위한 항만통합의 원칙은 고객의 요구 및 상업성
6) 물류부가가치 제고 전략의 대전환 시점
7) 글로벌 GTO 육성을 위한 터미널 대통합이 시급
8) 새로운 항만 부가가치원으로서 관광항만 육성이 중요
9) 2010년대는 융합 및 통합 원리가 중요
2. 정책 제언
1) 동북아 으뜸항만 육성을 위한 항만통합기구의 설치ㆍ운영
2) 항만당국 주도의 터미널 통합
3) 새로운 전략 도입을 통한 물류부가가치 제고 및 글로벌 항만개척
4) 협력과 연대를 통한 관광항만 육성정책 추진
5) 추진지표 설정
6) 항만산업경쟁력 강화 계획 수립
7) 2020 항만정책기획단 구성
8) 추진일정
9) 기대효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