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보고서KEI-a 녹색성장연구 2010-03

환경정보체계에 기반한 공간환경 계획 수립 가이드라인 마련 Ⅱ

저자
최희선
발행사항
서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0
형태사항
356p. 25cm
총서사항
KEI-a 녹색성장연구 2010-03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P420753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P42075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1.연구의 배경 및 목적 2.연구의 범위 및 방법 가.연구추진의 근거 나.1차년도 연구의 주요 내용 다.연구의 범위 라.연구의 추진체계 및 방법 제2장 사례 및 관련문헌 분석 1.국외 공간환경계획의 심층분석:독일 사례를 중심으로 가.독일의 공간환경계획 제도 나.위계별 계획의 차별성 분석 다.독일사례의 가이드라인에 반영:계획항목 도출을 중심으로 2.국토이용 통합지침 분석 가.국토이용 통합지침 작성의 배경 나.정책지침의 가이드라인에의 반영 3.사전환경성검토 관련 지침 분석 가.사전환경성검토 업무 매뉴얼 분석:공간환경계획과의 연계를 중심으로 나.사전환경성검토 업무 매뉴얼의 가이드라인에의 반영 제3장 공간환경계획 수립을 위한 가이드 라인:광역시ㆍ도 단위를 중심으로 1.가이드라인의 전체구성 2.가이드라인의 제안 가.자연생태 분야의 공간계획화 나.자연경관 분야의 공간계획화 다.토양ㆍ지하수 분야의 공간계획화 마.대기(기후)분야의 공간계획화 바,수환경 분야의 공간계획화 사,소음 분야의 공간계획화 아.에너지ㆍ폐기물 분야의 공간계획화 자.자연재해 분야의 공간계획화 3.공간환경계획의 종합 제4장가이드라인으 사례적용:경기도를 중심으로 1.경기도 공간계획 및 환경계획 수립 현황 분석 가.수도권정비계획 나.2020수도권 관역도시계획 다.경기도 환경보전계획 라.GMS(Growth Monitorong System) 2.공간환경정보의 파악 및 수집 가.수치지도 나.위성영상 다.GIS 데이터 및 공간자료 구축 현황 3.경기도의 공간환경계호힉 수립 가.자연생태 분야의 공간환경계획의 수립 나.자연경관 분야의 공간환경계획의 수립 다.토양ㆍ지하수 분야의 공간환경계획의 수립 라.연안ㆍ도서 분야의 공간환경계획의 수립 마.대기(미기후)분야의 공간환경계획의 수립 바.수환경 분야의 공간환경계획의 수립 사.소음 분야의 공간환경계획의 수립 아.에너지ㆍ폐기물 분야의 공공간환경계획의 수립 자.자연재해 분야의 공간환경계획의수립 4.경기도 지역 공간환경계획에의 종합 제5장 공간환경계획의 활용방안:경기도를 중심으로 1도종합계획 및 도시기본계획에의 활용방안 가.관련지침의 파악:국토이용 통합지침의 심층 분석 나.활용방안 제안:예시를 중심으로 2.도시관리계획 및 단위개발사업계획에서의 활용방안 가.관련지침의 파악:지구단위계획 수립지침 및 사전환경성 검토 나.활용방안 제안:예시를 중심으로 제6장 공간환경계획 효용성 증대를 위한 정책 제안 1.공간환경계획의 효용성 확대를 위한 전략 2.전략이행을 위한 정책 제안 가.프로그램 계획과 공간의 물리적 계획 간의 조화 나.다양한 이해당사자의'참여'에 기반한 공간환경계획의 수립 다.계획 간 협력을 위한 지침의 통합 및 협의기구 마련 라.비오톱 지도 등 분야별 공간환경정보의 위상 강화 마,국토공간정보체계에 대한 환경부문 시스템 강화 및 통합시스템 구축 바.전략환경평가와 환경영향 평가의 기준으로서의 공간환경계획 사.전략사업에 대해 지원정책 추진 제7장 결론 및 제언 1결론 및 요약 2.제언 참고문헌 부록A.공간정보시스템 구축 현황 부록B.경기도GIS 데이터 구축 현황 부록C.생태경관 보전지역 지정현황 부록D.자연상태 분야 보호지역 지정현황 부록E.경기도 지역 토양오염(중금속)측정 현황 부록F.경기도 지역 대기오렴 배출량 현황(3개년 평균) 부록G.경기도 지역 대기오염 측정 현황(3개년 평균) 부록H.(공간환경계획의 효율적 활용방안 )을 위한 개방형 설문지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