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0885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0885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Executive Summary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범위와 방법
1) 연구의 내용 및 범위
2) 연구의 방법
3) 선행연구 검토
제2장 해운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
1. 세계 해운산업의 구조변화
1) 신흥 해운시장으로서 BRICs의 등장
2) 환경·안전 규제 강화
3) 해운기업의 종합물류기업화 요구 증대
4) 해운시황 변동성의 확대
5) 해운 지식 정보 시장의 확대
2. 해운산업 전문인력 수요
1) 해운업과 해사서비스업
2) 지식서비스 산업의 개념
3) 해운산업 사업영역별 해운 전문인력 수요
4) 해운산업 전문인력의 범위
제3장 해운 전문인력 수급 전망
1. 국내 해운 전문인력 현황 및 수요 조사
1) 실태·설문조사의 개요
2) 실태·설문조사의 결과
2. 국내 해운 전문인력 수급 전망
1) 분석모형 소개 - 시스템 다이내믹스
2) 시스템 다이내믹스 적용 과정
3) 수급 전망 모델
4) 수급 전망 결과
3. 수급 전망 분석의 시사점
제4장 해운 전문인력 양성 현황과 문제점
1. 우리나라 해운 전문인력 양성 현황
1) 교육기관의 해운 전문인력 양성 현황
2) 정부의 해운 전문인력 양성 현황
3) 민간의 해운 전문인력 양성 현황
2. 해운 전문인력 양성의 문제점과 대응방향
1) 해운 전문인력 양성의 문제점
2) 정책적 시사점
제5장 해외 주요국 사례 분석
1. EU
2. 영국의 해사클러스터와 해사전문가 양성
3. 덴마크
4. 노르웨이
5. 싱가포르
1) 국제해사중심의 비전
2) 해사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조직정비
3) The MaritimeONE(Maritime Outreach NEtwork)
4) 해사클러스터 펀드(Maritime Cluster Fund : MCF)
6. 일본
7. 시사점
제6장 해운 전문인력 육성방안
1. 해운 전문인력 육성방안의 기본 원칙
2. 해운 전문인력 교육 콘텐츠 강화
1) 현황과 문제점
2) 교과목 보완 및 운영 개선
3) 전문 교수요원의 확대
4) 추진계획
3. 해운 전문인력 교육사업 관리 체계의 일원화
1) 현황과 문제점
2) 교육내용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3) 전담조직을 통한 해운 전문인력 교육관리 체계의 일원화
4) 추진계획 ...138
4. 해운 전문인력 경력개발제도 도입
1) 현황과 문제점
2) 경력개발프로그램의 도입
3) 교육프로그램 등급제
4) 추진계획
제7장 결론 및 정책 제언
1. 요약 및 결론
1) 연구의 요약
2) 연구의 결론
2. 정책 제언
1) 해운 전문인력 교육의 틀을 확장하는 인식전환 필요
2) 해운 전문인력 교육 기본계획 수립 필요
3) 경력개발경로 작성을 위한 해기사 대상의 전수조사 제안
4) 해운 전문인력 교육사업의 총괄관리 조직 설립 제안
참고문헌
부록. 해운산업 전문인력에 관한 실태·설문조사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