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보고서STEPI 정책연구 09-14

저탄소 녹색성장 종합평가지수 개발: 국가와 지역 적용을 초점으로

발행사항
서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9
형태사항
220p. 24cm
총서사항
STEPI 정책연구 09-14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P419335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P41933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범위 제2장 저탄소 사회의 패러다임의 특징과 핵심동력 제1절 저탄소 사회 패러다임의 개념과 특징 제2절 저탄소 사회 패러다임의 동력 제3장 선진국의 저탄소 사회 실현 전략 제1절 국가 차원의 동향 1. 유럽연합 2. 영국 3. 독일 4. 미국 5. 일본 6. 프랑스 제2절 지역 차원의 동향 1. 미국 프레스노시 2. 독일 프라이부르크시: 태양열, 신재생에너지의 환경수도 3. 영국 베딩톤: ‘제로 에너지 생태주거단지(BedZED)’ 4. 브라질 꾸리찌바시: 삶의 질 충족 도시 5. 일본 구즈마키: 산골 마을의 에너지 자립 6. 네덜란드 아메르스포르트(Amersfoort)시: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제로 에너지 하우스 제4장 저탄소 녹색성장 종합평가지수 개발과 비교 제1절 기존의 연구 1. 환경지속성지수(ESI: Environmental Sustainable Index) 2. 환경성과지수(EPI: Environmental Performance Index) 3. 산업계 기후변화 경쟁력지수(KCCI: Korea Climate Change Index) 4. 지속가능경영(Sustainable Management)의 성과지표 5. 지속가능발전에 기여하는 과학기술의 역량평가 지표 틀 6. 저탄소 경쟁력지수(Low Carbon Competitiveness) 제2절 국가의 저탄소 녹색성장 종합평가지수 개발과 비교 1. 저탄소 녹색성장 종합평가지수 개발의 기본방향 2. 저탄소 녹색성장 종합평가지수의 기본 구조 3. 저탄소 녹색성장 종합평가지수의 산출 방법 4. 저탄소 녹색성장 종합평가지수의 OECD국가 간 비교 제3절 지역의 저탄소 녹색성장 종합평가지수 개발과 비교 1. 지역의 저탄소 녹색성장 종합평가지수개발의 기본방향 2. 수집 가능한 지역별 데이터 제5장 정책제언 참고문헌 부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