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KIEP 연구자료 11-18A case study on the Korean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ers in Jiangsu province China
한국 중소 제조업체의 중국 장쑤성 진출사례와 시사점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1430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143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2. 선행연구
3. 연구 목적과 방법
제2장 이론적 고찰
1. 해외 진출 중소기업의 경영환경과 입지조건 변화
2. 해외 진출 중소기업의 경영 현황 및 애로사항
3. 협력업체로서의 진출과 단독 진출의 비교
제3장 한국 중소 제조업체의 대(對)장쑤성 투자 현황
1. 한국 중소 제조업체의 대(對)장쑤성 투자 실태
2. 투자입지로서 장쑤성의 특징
가. 다양한 산업군 분포
나. 경쟁력 있는 산업단지의 발달
다. 인적자원 인프라
라. 외자 유입을 통한 기술혁신
제4장 기업사례 분석
1. 방법론 및 개요
2. 사례 소개
가. 노동집약적 산업
나. 자본집약적 산업
다. 지식․기술집약적 산업
제5장 장쑤성 진출 한국 중소 제조업체의 경쟁력 실태와 향후 과제
1. 기업우위와 경쟁력 창출
가. 협력업체 그룹
나. 비협력업체 그룹
2. 장쑤성 입지요건의 혜택과 경영성과
가. 협력업체 그룹
나. 비협력업체 그룹
3. 현지 법인․한국 본사와의 내부화 효과
가. 협력업체 그룹
나. 비협력업체 그룹
4. 현지 정부 및 한국기업과의 네트워킹
가. 협력업체 그룹
나. 비협력업체 그룹
5. 그 외 이슈: 장기 성공을 위하여
제6장 결론 및 시사점
1. 결론
2. 시사점
가. 정부에 대한 시사점
나. 기업에 대한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