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KIET 연구보고서 2011-598Analysis on the critical factors of job creation in gazelle regions
가젤지역의 고용창출 결정요인 분석
- 단체저자
- 산업연구원
- 발행사항
- 서울 산업연구원 2011
- 형태사항
- 191p. 도표 24cm
- 총서사항
- KIET 연구보고서 2011-598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74-177) 수록
- 주제명
- 지역개발 계획 및 정책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1523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152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머리말
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방법 및 주요 내용
3. 선행연구의 현황 및 차별성
제2장 고용창출 중심지로서의 가젤지역
1. 지역에서의 창업과 고용창출의 관계
2. 고용창출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소
(1) 기업가정신
(2) 기업의 규모
(3) 기업의 나이
(4) 인적자본 집적에 따른 지식파급 및 산업 다양성
(5) 과학단지 등 지역 내 혁신지원기관의 존재
3. 가젤지역의 정의 및 선정
(1) 가젤기업의 기존 정의 및 특성
(2) 가젤지역의 기존 정의 및 특성
(3) 본 연구에서 가젤지역의 정의 및 선정
4. 가젤지역의 산업적 특성 분석
(1) 사업체 수 변화
(2) 고용 변화
(3) 창업 및 고용 기여도
5. 가젤지역의 기업적 특성 분석
(1) 가젤지역의 가젤기업 수
(2) 가젤지역의 기업규모
(3) 가젤지역 기업의 평균 나이
(4) 가젤지역의 첨단업종 비중
6. 시사점
(1) 가젤지역 산업으로부터의 시사점
(2) 가젤지역 기업으로부터의 시사점
제3장 지역유형별 창업 및 고용창출에 관한 설문조사
1. 설문조사의 목적, 내용 및 방법
2. 설문조사의 결과
(1) 개관
(2) 창업 관련 설문결과
(3) 고용 관련 설문결과
3. 시사점
(1) 창업 관련 시사점
(2) 고용 관련 시사점
제4장 가젤지역의 고용창출 특성 및 결정요인 실증분석
1. 기존 유사 연구 사례
(1) 창업과 고용의 관계 분석 사례
(2) 고용창출 결정요인 분석 사례
2. 분석 목적 및 분석 결과
(1) 창업과 고용의 관계 분석
(2) 산업별 진입률 간 관계 분석
(3) 고용창출 결정요인 분석
3. 시사점
제5장 가젤지역으로서의 미시간 주 고용정책 사례
1. 지역산업 개황
2. 미시간주의 전방위적 창업 및 고용지원정책
(1) 고용기금 설립 및 고용보조금 제공
(2) 창업지원 보조금
(3) 창업 전 펀드 및 소규모 대출 프로그램
(4) 세액공제 등 세제 지원
3. 주 정부 주도의 광역적 연계협력을 위한 지역사업 추진
(1) 광역선도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MLSC 및 MTTC 사업추진
(2) 대학 중심의 산학연 연계협력을 위한 URC사업 추진
4. SPARK 등 지역 공공기관의 체계적인 기업 지원
5. 첨단기술기업 집적지로서의 스마트존 운영
(1) 설립 목적 및 기능
(2) 연혁 및 추진과정
(3) 지정 현황
6. 미시간 주의 창업 및 고용창출 성과
(1) 광역연계형 지역사업 추진에 따른 성과
(2) SPARK의 성과
(3) 스마트존의 성과
제6장 지방에서의 창업 및 고용창출 활성화방안
1. 가젤지역 고용창출 결정요인 종합
2. 주요 정책방안
(1) 광역경제권별 창업·고용 지원 펀드 조성
(2) 인력 수급 불일치 해소를 위한 거버넌스 정비
(3) 인력 수급 불일치 해소를 위한 사업 추진
(4) 고용창출 가능 지역산업 및 지역사업의 발굴과 지원 규모 확대
(5) 광역경제권별 지식기반서비스업 육성사업 발굴 및 지원
(6) 창업 및 고용 감소 지역의 원인 파악 및 기업 유치 지원 필요
(7) 지역별 특성에 부합하는 산업단지의 조성 및 구조고도화
참고문헌
부록 : 설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