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국토연구보고서 2011-59Land use change prediction with spatiotemporal pattern analysis and strategies for urban policy
시공간패턴분석을 통한 토지이용변화 예측 및 활용방안 연구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1557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155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요약
제 1 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범위
1) 공간적 범위
2) 시간적 범위
3) 내용적 범위
4. 연구추진방법
1) 국내외 문헌 및 인터넷 조사
2) 면담조사 및 자문회의 개최
3) 자료구축 및 모니터링 프로토타입 시스템 개발
제2장 기존의 토지이용변화 예측방법론 검토 및 새로운 방법론의 필요성
1. 기존의 토지이용변화 예측기법과 한계3
1) 로짓모형
2) 셀룰러 오토마타
3) 행위자 기반모형
4) 기존 방법론의 한계 및 본 연구의 차별
2. 새로운 방법론의 필요성
1) 토지이용변화의 개념
2) 토지이용변화의 과정 및 토지시장자료
3) 토지거래자료 활용 및 시공간패턴분석의 필요성
제3장 시공간패턴분석 방법론 고찰
1. 시공간패턴분석의 개요
1) 공간패턴과 자기상관성
2) 공간패턴 분석 사례
2. 시공간패턴의 발생 메커니즘과 측정방법
1) 자석모형
2) 군집패턴의 1차 요인과 2차 요인
3. 시공간패턴의 측정방법
4. 시공간패턴 모형의 유형
1) General Tests
2) Tests for the Detection of Clustering
3) Focused Tests
5. 기존 시공간패턴분석 기법의 한계 및 최근 연구동향
제4장 시공간패턴분석 방법론 개발 및 토지이용변화 예측
1. 시공간패턴분석 방법론 개발
1) 요구사항
2) 시공간체인통계량의 기본원리
3) 분석과정
2. 사례지역의 자료구축 및 분석시스템 개발
1) 사례지역의 현황
2) 자료의 수집
3) 자료의 구축절차
4) 시공간패턴분석 프로토타입 시스템 개발
3. 시공간패턴분석 방법론 검증
1) 검증방법
2) 연도별 시공간패턴분석 결과 검증
3) 시공간 클러스터와 토지이용변화의 관계 분석
4. 토지이용변화 예측 결과
5. 시공간패턴 기반 토지이용변화 예측의 시사점
1) 도시성장관리정책의 수립
2) 개발계획 및 정책의 시행에 따른 토지시장의 모니터링
3) 토지투기 예방정책의 수립
제5장 결론 및 정책건의
1. 활용방안
1) 선제적 스마트성장관리정책 수립
2) 개발계획이나 정책에 대한 토지시장의 반응 모니터링
3) 토지투기 조기경보체계로 활용
2. 시공간패턴분석기반 실시간 토지시장 모니터링 체계 구축방안
1) 개발방향: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의 모니터링 기능 강화
2) 토지시장 관련 자료 수집체계
3) 시공간패턴분석기법 기반 실시간 모니터링모형 개발
3. 정책건의
1) 토지관련 공간자료의 시계열 데이터베이스 구축 필요
2) 필지기반 토지시장 실시간 모니터링체계 구축 필요
3) 다양한 방법론을 종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모형개발
4.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참고문헌
SUMMARY
부록
부록 Ⅰ.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Monte Carlo Simulation
부록 Ⅱ. 시공간패턴분석 프로토타입 시스템 소스코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