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국토연구보고서 2011-60Directions and future tasks of urban and national terriorial policies in preparation for the age of centenarians
100세 시대를 대비한 국토 및 도시정책 방향과 과제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1558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155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발간사
요 약
제1장 서론
1. 연구배경
2. 연구목적
3.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 범위
2) 연구 방법
4. 연구의 주요내용
5.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1) 선행연구 현황
2) 선행연구와 본 연구와의 차별성
제2장 100세 시대 관련 국내외 정책 및 개념정립
1. 국내외 관련 계획 및 정책 검토
1) 국내 관련 계획 및 정책 검토
2) 100세 시대 관련 제도 검토
3) 해외 주요 정책 검토 /
4) 시사점
2. 『100세 시대』의 개념 정립
1) 100세 시대의 의미
2) 100세 시대의 조작적 정의
제3장 100세 시대 관련 정책추진 실태분석 /41
1. 조사개요
1) 사례지 선정
2) 분석의 초점
2. 사례지역 조사결과
1) 도시 및 지역정주 분야의 정책 추진 실태 분석
2) 주거 분야의 정책 추진 실태 분석
3) 교통 분야의 정책 추진 실태 분석
3. 분석 종합
1) 도시 및 지역정주 분야
2) 주거분야
3) 교통분야
제4장 100세 시대를 대비한 국토 및 도시정책 과제도출
1. 100세 시대의 국토 및 도시정책 목표
1) 미래 전망
2) 100세 시대 국토 및 도시 정책 목표
2. 100세 시대 국토 및 도시 정책 추진 방향
1) 도시 및 지역정주 분야
2) 주거 분야
3) 교통 분야
3. 정책과제 도출
1) 정책과제 도출 과정
2) 100세 시대에 대비하여 추진해야 할 과제
제5장 100세 시대를 대비한 국토 및 도시정책 추진방안
1. 도시 및 지역정주 분야
1) 도시 건강·치유의 숲 조성
2) 수변지역을 활용한 건강촉진형 활동공간 조성
3) 도시텃밭 만들기
4) 건강한 도시공간 조성을 위한 체육시설 확충
5) 건강한 사회환경 조성을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
2. 주거 분야
1) 고령자 배려를 위한 전용주택 공급 확대
2) 고령자 안전을 위한 주택개조지원
3) 재가서비스의 체계적 지원
4) 편의시설 등 활동친화적 시설에 대한 접근성 제고
5) 주거비지원 및 주택을 활용한 소득보장 확대
3. 교통 분야
1) 대중교통 무장애화
2) 보행 환경 등 생활교통 정비
3) 교통관련 사회활동 참여 지원
4) 안전한 운전환경 조성
제6장 결론
1. 연구의의 및 정책적 시사점
1) 연구의의
2) 정책적 시사점
2. 연구한계 및 향후 추진과제
1) 연구 한계
2) 향후 추진과제
3. 맺음말
참고문헌
SUMMARY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