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KIET 연구보고서 2012-638Mid- qqqamp; Long-Term Projection of Korean Industry Considering An Aging Population
고령화를 고려한 중장기 산업구조 전망
- 단체저자
- 산업연구원
- 발행사항
- 서울 산업연구원 2012
- 형태사항
- 260 p. 도표 24cm
- 총서사항
- KIET 연구보고서 2012-638
- 주제명
- 산업조직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2388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238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머리말
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과 방법
3. 연구의 범위 및 구성
제2장 고령화의 경제·산업적 영향 검토
1. 인구고령화의 현황과 전망
(1) 출산율과 기대수명
(2) 인구구조의 변화와 전망
(3) 인구고령화 속도
2. 고령화의 경제적 영향 검토
(1) 이론적 관점
(2) 거시경제적 파급 영향
(3) 산업적 파급 영향
3. 국내의 연구동향과 시사점
제3장 국내 경제의 중장기 구조변화
1. 경제성장과 총수요구조
2. 가계 소비구조
3. 산업의 생산 및 수출입 구조
(1) 산업 생산구조
(2) 산업 수출구조
(3) 산업 수입구조
4. 노동의 공급 및 수요구조
(1) 노동 공급구조
(2) 노동 수요구조
제4장 산업구조 전망 방법론
1. 전망모형 기본 구조
(1) KIET-DIMM의 특징과 발전
(2) 고령화 분석을 위한 KIET-DIMM의 확장
(3) KIET-DIMM12 기본 구조
2. 하부모형 구조
(1) 인구·가계 블록
(2) 수요·공급 블록
(3) 가격·기술 블록
(4) 대외 블록
(5) 거시 블록
3. 산업 분류와 통계 DB 구조
(1) 산업 분류
(2) 통계 DB 구조
4. 모형의 추정과 적합성
(1) 행위방정식 추정
(2) 모형 적합성
제5장 중장기 경제·산업구조 전망
1. 인구고령화 시나리오
2. 전망 절차
3. 외생변수에 대한 가정
4. 시나리오별 경제·산업구조 전망
(1) 경제성장과 수요구조
(2) 산업 생산구조
(3) 산업 수출구조
(4) 산업 수입구조
(5) 노동 수요구조
제6장 결론
1. 전망결과 요약
2.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1. 행위방정식 추정 결과
2. 산업별 변수에 대한 모형 적합성 검정
3. 78산업 분류 기준 전망 결과
4. 시나리오별 임금대비 사용자비용 및 노동수요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