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KIEP ODA 정책연구KIEP 연구자료 11-0511-09Private sector development :approaches donor practices and implications for South Korea
국제사회의 민간부문개발 지원 현황과 한국의 추진과제
- 단체저자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발행사항
-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
- 형태사항
- 162p. 도표 24cm
- 총서사항
- KIEP ODA 정책연구 KIEP 연구자료 11-05 11-09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146-155)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1735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1735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논의 흐름 및 선행연구
제2장 민간부문개발 원조 개념, 유형 및 쟁점
1. 민간부문개발의 개념과 범위
2. 민간부문개발에 대한 접근유형
가. 비즈니스 환경개선
나. 빈곤친화적 시장개발(MM4P)
다. 기타: 민관협력(PPP)
3. 민간부문개발과 원조효과성
제3장 주요 공여국의 민간부문개발 원조 현황
1. 독일
가. 전략 및 체제
나. 지원 현황
2. 스웨덴
가. 전략 및 체제
나. 지원 현황
3. 영국
가. 전략 및 체제
나. 지원 현황
4. 미국
가. 전략 및 체제
나. 지원 현황
5. 일본
가. 전략 및 체제
나. 지원 현황
6. 수원국별 사례
가. 모잠비크
나. 캄보디아
제4장 한국의 민간부문개발 원조 현황과 추진과제
1. 현황
2. 평가 및 시사점
3. 추진과제
가. 정책 차원
나. 시행 차원
4. 맺음말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