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KIET 연구보고서 2011-592Industrial linkages and business cycles in Korea
한국경제의 산업간 연결망과 경기변동 확산과정에 대한 연구
- 단체저자
- 산업연구원
- 발행사항
- 서울 산업연구원 2011
- 형태사항
- 165p. 도표 24cm
- 총서사항
- KIET 연구보고서 2011-592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149-158)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1646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164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머리말
요 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의의
(1) 연구 주제
(2) 연구 방법론
(3)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
3. 연구의 구성
제2장 산업간 산출 공행성의 추이
1. 분석 자료
2. 시간 영역 상관계수 분석
(1) 전 기간 상관계수 분석
(2) 구조변화 분석과 이동창 상관계수 분석
3. 주파수 영역 상관계수 분석
(1) 푸리에 변환과 파워 스펙트럼
(2) 주파수 영역 상관계수 분석
4. 소파동 동조성 분석
(1) 소파동 변환과 파워 스펙트럼
(2) 소파동 동조성 분석
5. 요약 및 평가
제3장 산업간 거래망과 산출 공행성
1. 산출 공행성의 두 가지 원천
(1) 이론적 배경
(2) 선행 실증 연구
2. 분석 방법
(1) 산업간 거래 구조의 유사성
(2) 산출 공행 구조의 유사성
(3) 비모수적 회귀 분석
3. 분석 자료
4. 분석 결과
(1) 산출 공행성에 대한 효과
(2) 산출 공행 구조에 대한 효과
5. 요약 및 평가
제4장 산업간 거래망의 위상구조 : 복잡계 연결망 분석
1. 연결망 분석의 필요성
(1) 전통적인 산업연관분석의 특징
(2) 연결망 분석의 의의
2. 복잡계 연결망 개관
(1) 무작위 연결망
(2) 좁은 세상 연결망
(3) 복잡계 연결망
3. 산업간 거래망 구축
4. 산업간 거래망의 위상구조
(1) 밀도와 상호성
(2) 군집 성향
(3) 거리, 지름, 좁은 세상 현상
(4) 도수 분포
(5) 중심 산업 식별
5. 산업간 거래망과 침체 국면의 확산
(1) 모의실험 모형
(2) 모의실험 결과
6. 요약 및 평가
제5장 결론
1. 분석 결과의 요약
2. 정책 시사점
(1) 산업수준 경기안정화 정책의 필요성
(2) 핵심고리 산업들에 대한 선별적 관리 전략
(3) 산업간 연결망의 체계적 위험 관리 방안
3. 본 연구의 한계와 후속 과제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