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보고서경제인문사회연구회 녹색성장 종합연구 총서국토연구보고서 11-02-072011-43Study on the integrated nature management system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녹색국토 구축을 위한 강(江)산(山)해(海) 통합관리 추진방안 연구

저자
최영국
단체저자
국토연구원
발행사항
안양 국토연구원 2011
형태사항
xxvi229 p. 채색도표채색지도 25cm
서지주기
참고문헌(p.209-219)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P421550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P42155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발간사 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배경 2. 연구목적 3. 연구범위 및 방법 1) 연구범위 2) 연구방법 4. 연구의 흐름 제2장 선행연구 고찰 및 관련 이론 검토 1. 선행 연구 고찰 및 차별성 1) 선행연구 고찰 2)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 2. 관련이론 고찰 1) 유역통합관리 2) Green Infrastructure 3) 경관생태학에서의 경관요소 4) 생태계 관리(Ecosystem management) 5) 생태계 서비스(Ecosystem Services) 제3장 통합관리 관련제도 및 추진실태 분석 1. 관련제도 1) 국내 관련법 및 제도 2) 국외 제도 3) 시사점 도출 2. 관련 계획 및 추진실태 검토 1) 통합관리를 위한 자원별 관련계획 검토 2) 통합관리 관련 실무 현황 3) 현행 통합관리 추진의 한계 제4장 강산해 통합관리 추진방향 및 과제 1. 강산해 통합관리 배경으로서 패러다임의 전환 2. 강산해 통합관리 개념 정립 3. 강산해 통합관리 추진방향 1) 기존 통합관리와 강산해 통합관리의 차이점 2) 강산해 통합관리 추진의 기본방향 4. 강산해 통합관리 추진과제 1) 강산해 통합관리 추진시 해결해야 할 사항 2) 강산해 통합관리 추진과제 제5장 강산해 통합관리 추진방안 1. 강산해 통합관리를 위한 추진과제의 연관성 1) 추진과제 구분 2) 추진과제별 연관성 2. 유역에 기반한 통합관리 추진 여건 마련 1) 통합관리 기반으로서 유역의 의미 2) 유역 구분 검토 3) 유역통합관리 가이드라인 3. 통합관리를 위한 기초정보 구축 및 공유 1) 기초정보 구축의 필요성 2) 기초정보의 부족과 생태계 훼손 실태 3) 통합관리를 위한 기초정보의 조건과 현행 정보의 한계 4) 통합관리를 위한 도시생태현황지도의 구축 및 활용 4. 통합관리의 기반으로서 생태축 설정 1) 통합관리 기반으로서 생태축 설정 배경과 의미 2) 생태축 개념과 유형 3) 생태축 설정시 고려사항 5. 계획수립 과정에서의 통합관리 실행방안 1) 통합관리를 위한 계획작성의 필요성 2) 실행방안 도출과정 3) 통합관리 측면에서의 현행 공간계획 수립과정의 한계 4) 통합관리에 의한 공간계획 수립 가이드라인 5) 통합관리를 위한 공간계획 수립 가이드라인의 적용 : 사례 연구 6. 환경평가 제도를 통한 통합관리 실행 1) 개요 2) 통합관리를 위한 환경평가제도의 개선 3) 통합관리를 위한 환경평가 업무가이드라인 마련 7. 통합관리를 위한 협력적 관리체계의 여건 마련 1) 통합관리의 의의와 협력적 관리체계의 필요성 2) 협력적 관리체계 구축의 장애요인들 3) 협력적 관리체계 관련 이론 검토 4) 통합관리를 위한 협력적 관리체계의 추진방안 5) 사례 적용 : 도시공원과 도시숲에 대한 협력적 관리체계 8. 통합관리를 위한 관련제도 정비 1) 유역통합관리 가이드라인 마련 관련 제도개선 2) 기초정보의 구축 및 통합운용을 위한 제도개선 3) 생태축 설정 관련 제도개선 4) 공간계획 작성 관련 제도개선 5) 강산해 통합관리에 의한 환경평가를 위한 제도개선 6) 협력적 관리체계 여건마련을 위한 제도개선 6 결론 1. 연구의의 2. 정책적 시사점 3. 연구한계 및 향후 추진과제 1) 연구한계 2) 향후 추진과제 4. 맺음말 참고문헌 SUMMARY 부록: 유역권 구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