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KIEP 연구자료KIEP 전략지역심층연구 12-0212-20Myanmar's transformation :international responses and implications for Korea
신정부 출범 이후 미얀마 개혁‧개방에 대한 주요국의 대응과 시사점
- 단체저자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발행사항
-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
- 형태사항
- [154] p. 도표 24cm
- 총서사항
- KIEP 연구자료 KIEP 전략지역심층연구 12-02 12-20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39-145])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2565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2565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2. 2011년 신정부 출범 이후 미얀마의 개혁⋅개방
3. 미얀마의 대외경제 관계 현황
4. 연구의 구성과 범위
제2장 서방: 제재완화를 통한 개혁지지
1. 미국: 제재의 완화와 전향적 자세
2. EU: 미국보다 적극적인 제재완화와 개발협력에 주력
3. 국제기구: World Bank와 IMF
4. 소결
제3장 중국: 독점․선점자 지위에서 경쟁자 지위로 전환
1. 중국의 대(對)미얀마 전략
2. 개혁⋅개방 전후 동향과 향후 전망
3. 소결
제4장 일본: 개발협력 및 투자진출 선도
1. 일본의 대(對)미얀마 정책과 전략
2. 개혁⋅개방 이후 일본의 동향과 전망
3. 소결
제5장 아시아 주변국: 전략적 접근
1. 태국: 대규모 인프라 사업 중심의 경제적 이익 도모
2. 싱가포르: 인적 교류 및 인적 자원개발 주력
3. 인도: 안보 확보와 중국의 영향력 견제
4. 소결
제6장 결론 및 시사점
1. 미얀마 대내외 환경변화 전망
2. 주요국의 움직임과 대응에 대한 평가
3. 한국-미얀마 경제협력에 대한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