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경제인문사회연구회 녹색성장종합연구총서KEI-a 녹색성장연구 11-02-85(1)2011-09The assessment of the vulnerabilities in water management systems and formulation of water security strategy Ⅲ
물관리 취약성과 물안보 전략 Ⅲ
- 저자
- 김익재
- 단체저자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발행사항
- 서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1
- 형태사항
- 145p. 채색도표 26cm
- 총서사항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녹색성장종합연구총서 KEI-a 녹색성장연구 11-02-85(1) 2011-09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137-142)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1418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141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가. 기후변화와 물 나. 물과 안보
다. 물안보와 녹색성장
2. 연구 목적
3. 연구 내용 및 방법
가. 연구 내용
나. 연구 방법
제2장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내외 물관리 정책 동향
1. 국내 동향
가. 기후변화 대응 미래 수자원 전략
나.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다. 물환경 비전 2030
2. 해외 동향
가. 미국
나. 영국
다. 일본
라. 호주
3. 소결
제3장 기후변화에 따른 한반도 물순환 영향과 전망
1. 한반도의 기후 및 물순환 전망
가. 한반도의 기후변화
나. 기후변화에 따른 각 분야의 영향
2.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물순환의 변화
가. 기상자료를 이용한 국내 물순환 변화 분석 및 전망
3. 기후변화 및 그 영향 예측의 불확실성
가. 불확실성의 해석 및 평가
나. 기후변화 및 수문현상 예측의 불확실성
다. 수문현상 예측 불확실성 분석에 관한 연구
4. 소결
제4장 부문별 물관리 취약성 분석 및 평가
1. 수자원
가.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 취약성
나.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수자원 관리 방향
2. 수질 및 수생태계
가. 기후변화에 따른 수질 영향
나. 기후변화가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3. 홍수 및 해수면 상승
가. 홍수방어의 취약성
나. 해수면 상승에 따른 취약성
4. 물환경 인프라 가.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녹색 인프라
나. 물환경 인프라의 온실가스 발생 감축
5. 물이용
가. 현행 수도요금 체계의 문제점
나. 수도요금의 현실화 방향
6. 물 갈등
가. 물 갈등의 원인 및 해결 방향
나. 남북 공유하천의 공동 물안보 확보
7. 소결
제5장 물안보 확보 전략의 제안
1. 물안보 개념 및 위상
가. 물안보 확보의 필요성
나. 물안보 개념의 정립
2. 물안보 확보 전략의 제안
가. 물순환의 건전성 회복
나. 물관리 레질리언스(Resilience) 확보
다. 유역 중심의 물관리 체계 구축
라. 물 부문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재원 및 투자계획 마련
마. 사회 각 부문의 기후변화 적응능력 배양
제6장 정책 제언 참고 문헌
Abstra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