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국토연구보고서 2011-34Establishing the simulation model for national territorial policy(Ⅱ)
국토정책 시뮬레이션 모형의 구축 연구(Ⅱ)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1546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154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연구개요
1. 연구배경 및 목적
1) 연구배경
2) 연구목적
2. 연구범위 및 방법
1) 연구범위
2) 연구방법
3) 연구수행 절차
3. 선행연구 검토
1) 선행연구 현황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제2장. 국토정책 시뮬레이션 대상 및 모형의 체계
1. 국토정책 시뮬레이션 대상
2. 국토정책 시뮬레이션 모형 체계
1) 국토정책 시뮬레이션 모형 구성
2) 부문별 연계 구조
3) 모형개발 현황 및 계획
3. 국토정책 시뮬레이션 K-Sim DB 구축 및 운용
1) 개요
2) 기초DB 고찰
3) K-Sim DB관리시스템(DBMS)
4) K-Sim 향후 구상
제3장. 국토정책 시뮬레이션 모형의 개발
1. 거시경제부문
1) 거시경제부문 개요
2) 인구 및 가구의 시군구 전망
3) 지역별 생산 및 고용 전망
4) 활용 및 향후 과제
2. 지역경제부문
1) 지역경제부문 개요
2) 다지역 환경IO 모형
3) 다지역 동태 연산일반균형 모형
4) 활용 및 향후 과제
3. 지역간이동부문
1) 지역간이동부문 개요
2) 기업입지모형
3) 활용 및 향후개선
4. 교통부문
1) 교통부문 개요
2) 기초자료 검토
3) O/D 및 네트워크 구축
4) 교통현황 정산
5) 접근도 산출
6) 가로 교통량 및 V/C 변화 분석
7) 이산화탄소 배출량 분석
8) 활용 및 향후과제
5. 토지이용변화부문
1) 토지이용변화모형 개요
2) 토지이용변화예측방법론
3) 토지이용변화예측을 위한 토지이용모형의 역할 정립
4) 활용 및 향후과제
4. 국토정책 시뮬레이션 모형의 활용
1. 정책시뮬레이션 개요
1) 정책시뮬레이션 목적
2) 정책시뮬레이션 대상 설정
3) 정책시뮬레이션 흐름
2. 산업단지 입지수요 시뮬레이션
1) 분석 개요
2) 분석 과정
3) 분석 결과
3. 교통 모형 분석
1) 분석 개요
2) 분석 과정
3) 분석 결과
4. 토지이용변화 모형 분석
1) 분석 개요
2) 분석 과정
3) 분석 결과
5. 시사점
제5장.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
SUMMARY
부록 1: 거시부문의 이용통계 및 산업분류
부록 2: 지역별 지역내총생산 및 취업자수
부록 3: 다지역 동태 IO모형 검토
부록 4: 환경 IO모형 관련 문헌검토
부록 5: 온실가스 산정절차
부록 6: CGE 모형 관련 문헌검토
부록 7: 2차년도 인구이동 모형 검토
부록 8: 대구광역권 존체계
부록 9: KTDB 자료와 KOPSS 자료의 인구수 비교
부록 10: 대구광역시 인구수 및 종사자수(2007)
부록 11: 대구광역권 인구수 및 종사자수(2007)
부록 12: 2021년 접근도(미시행시, 시행시)
부록 13: UrbanSim 데이터 테이블 구성
부록 14: UrbanSim 구동을 위한 OPUS 작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