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KIET 연구보고서 2011-587China's policy direction of the 12th five-year plan and South Korea's counterplans
(2011년 대중국 종합연구)중국 제12차 5개년 계획 방향과 우리의 대응
- 저자
- 이문형
- 단체저자
- 산업연구원
- 발행사항
- 서울 산업연구원 2011
- 형태사항
- 2 책 24cm
- 총서사항
- KIET 연구보고서 ; 2011-587
- 서지주기
- 참고문헌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1821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1822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182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182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1권]
요약
제1장 연구 개요
제1절 연구 필요성과 목적
제2절 선행연구 평가 및 본 연구와의 차별성
제3절 연구 추진체계와 연구 방법·
제4절 기대 효과·
제2장 중국의 제12차 5개년 계획 사회경제분야 내용 및 전망
제1절 제11차 5개년 계획 평가
제2절 제12차 5개년 계획의 주요 내용 및 전망
제3장 중국의 제12차 5개년 계획 기간 중 산업구조 변화 방향
제1절 제11차 5개년 계획 기간 중 산업구조 변화
제2절 제12차 5개년 계획과 산업구조 변화 방향
제4장 중국 주요 업종별 제12차 5개년 계획의 주요 내용 및 전망
제1절 자동차산업
제2절 조선산업
제3절 기계산업·
제4절 전자정보산업
제5절 철 강
제6절 석유화학
제7절 섬유산업
제8절 생물산업
제5장 우리 산업의 대응방안
제1절 우리 산업에 주는 영향 및 시사점
제2절 정부 및 기업의 대응전략
참고문헌
Abstract
[2권]
요약
제1장 중국 공업구조의 패러다임 변화와 고도화 및 한·중 산업 협력에 미친 영향
제1절 "제11차 5개년 발전계획" 기간 중 중국 공업구조 변동의 주요 특징
제2절 중국 공업구조의 패러다임 변화와 고도화 제약 요인
제3절 12·5 계획 기간 중국 공업구조 변화의 기본 추세
제4절 12차 5개년 발전계획 기간 중 한·중 산업관계의 발전 향방
제2장 상하이 12차 5개년 계획 및 한·중 협력 방안
제1절 "12차 5개년 계획" 기간 상하이가 직면한 발전 환경
제2절 상하이 "12차 5개년 계획" 의 주요 내용
제3절 상하이와 장강삼각주 주변 도시의 산업 연계
제4절 한국과 상하이, 장강삼각주 지역의 협력 현황 및 특징
제5절 "12·5" 기간 한국과 상하이의 중점 협력 분야 및 방안
제6절 한·중 (한국-상하이) 협력 대책 건의
제3장 "12·5" 기간 광둥의 현대적 산업시스템 구축 및 한국-광둥의 산업 협력 문제 연구
제1절 "11·5" 기간, 광둥의 현대적 산업 시스템 형성 동향
제2절 "12·5" 기간, 광둥성의 산업 발전 환경 분석
제3절 한국-광둥 산업 협력 전망
제4절 한국-광둥 산업 협력 추진 대책 건의
제4장 중국 에너지 부문 제12차 5개년 계획 방향과 우리의 대응 방안
제1절 중국 에너지 부문의 11차 5개년 계획 및 성과
제2절 중국 에너지 부문의 12차 5개년 계획 주요 전망
제3절 중국 에너지 부문 변화의 국내 에너지산업 파급효과 및 대응 방안
제5장 중국 환경 부문 제12차 5개년 계획 방향과 우리의 대응 방안
제1절 서론
제2절 "국민경제 및 사회발전 제11차 5개년 계획" 환경 부문 성과 평가
제3절 "국민경제 및 사회발전 제12차 5개년 계획" 환경 부문 주요 내용
제4절 우리나라의 대응 전략
제6장 중국 교통 물류 분야 제12차 5개년 계획 방향과 우리의 대응 방안
제1절 서론
제2절 중국 교통 물류 분야 11차 5개년 계획 성과 분석
제3절 중국 교통 물류 분야 12차 5개년 계획
제4절 교통 물류 분야별 12차 5개년 계획 발전 전략
제5절 중국 교통 물류 분야 12차 5개년 계획의 시사점 및 대응 방안
부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