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국토연구보고서 2011-372011-37-1The action strategies for national territorial development of Korea(Ⅱ)
한국형 국토발전 실천전략 연구(Ⅱ)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1547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1548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154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154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잘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범위와 방법
2) 연구의 방법
4. 선행연구와의 관계 및 차별성
1) 2009년~2010년 연구와의 관계 및 차별성
2) 기타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제2장 주요 개념 및 관련 이론 검토
1. 지리전략 이론
2. 국토자본 이론
3. 전통적 국토관과 국토경영 전략
1) 전통적 국토관
2) 조선시대 국토경영 전략 .
4. 국토발전 모델 이론
1) 전략 도출을 위한 분석 이론
3) 국토발전 전략의 진화
4) 20세기 한국형 국토발전 모델의 평가와 과제
제3장 국토특징을 활용한 국토발전 해외사례
1. 유럽 사례
1) ‘유럽 2020’ 개요
2) 7대 이니셔티브
3) 유럽 2020 국토발전 아젠다(TA2020)
2. 프랑스 사례
1) 프랑스 국토전략으로서 ‘전망’의 변천
2) Territoires 2040
3) 프랑스의 국토인식과 국토발전 전략 사례
3. 독일 사례
1) 국토균형발전 및 대도시권 전략
2) 산림자원 및 수자원을 활용한 도시발전 전략 .
3) 역사·문화적 자원을 활용한 6대 관광루트의 개발 전략
4) ‘지역경제구조개선’ 및 도시 건설 및 건축 진흥정책
4. 한국형 국토발전 실천전략 도출의 시사점
제4장 국토의 강점 및 활용도 분석
1. 분석 방법
2. 국토강점 발굴
1) 국토강점 분류
2) 국토강점의 주요 내용
3. 현재활용도와 미래 잠재가치 분석결과
4. 국토강점의 활용과 유형화.
1) 한국형 모델 구축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
2) 개선·보완을 통한 재구조화
3) 혁신을 통한 新모델 개발
제5형 한국형 국토발전 실천전략
1. 한국형 新국토발전 모형 및 실천전략 정립
1) 한국형 新국토발전 모형의 핵심요소 정립
2) 한국형 新국토발전 실천전략의 방향 정립
2. 한국형 국토발전 실천전략 도출
1) 한국형 국토발전 실천전략의 도출의 틀
2) 한국형 국토발전 7대 실천전략
3. 한국형 국토발전 실천전략
1) 글로벌 연성국토 개척 전략
2) 네트워크형 국토구조 형성 전략
3) 삶의 질을 높이는 고품격 토지이용·도시·주택 전략
4) 융·복합 추세에 대응한 산업입지 전략
5) 강·산·해를 활용한 매력있는 녹색국토 전략
6) 창조적 문화국토 전략
7) 국토 거버넌스 구축 전략
6 결론
1. 연구의 기여도
1) 학술적 기여도
2) 정책적 기여도
3. 정책화 방안
4. 향후 과제
참고문헌
SUMMARY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