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3) | ||||
자료실 | P421450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1451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1452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3)
- 등록번호
- P42145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145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145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상권]
제1장 세계경제의 주요 리스크(1부)
글로벌리스크
Ⅰ. 2011년 세계경제의 주요 리스크 평가(2010. 12. 29.)
Ⅱ. 세계화(Globalization)를 보는 시각의 변화(2011.3.21.)
Ⅲ. 2012년 세계경제의 주요 리스크 평가(2011.12.27.)
유럽 국가채무문제
Ⅰ. EU의 경제적 거버넌스(governance) 개혁방안과 전망(2010. 11. 17.)
Ⅱ. 아일랜드 은행위기의 전개과정과 전망 (2010.11.25.)
Ⅲ. 포르투갈 경제의 리스크 요인과 전망(2010.12.5.)
Ⅳ. EU 공동국채(Euro-bond) 발행 논의와 향후 전망(2011.1.24.)
Ⅴ. 벨기에의 국가 리스크(sovereign risk)(2011.2.24.)
Ⅵ. 포르투갈의 재정리스크와 구제금융 전망(2011.3.16.)
Ⅶ. EMU 체제 개혁의 주요 내용과 평가(2011.4.20.)
Ⅷ. 유로지역내 경제력 불균형 현황과 과제(2011.5.17.)
Ⅸ. 그리스 국가부도 위기의 재부상 배경과 전망(2011.6.1.)
Ⅹ. EU의 은행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 및 향후 전망(2011.7.21.)
Ⅺ. EMU의 국가부도위기 대응과 전망(2011.8.30.) 236
Ⅻ. 유로지역 국가간 경상수지 불균형과 가격경쟁력(2011.10.13.)
XIII. 최근 유럽은행의 자금조달 상황 평가(2011.11.1.)
XIV. 유로지역 국가채무위기에 대한 ECB의 정책대응(2011.11.17.)
XV. 미국과 유로지역 위기대응 대책(TARP와 EFSF) 비교 및 시사점(2011.12.21.)
XVI. 유럽 경제통화동맹(EMU)에 대한 영국의 시각(2012.1.5.)
XVII. 유로화 화폐 도입 10년의 현황 및 평가(2012.1.19.)
미국경제 부진
Ⅰ. 과거 사례에 비추어 본 미국의 디플레이션 가능성(2010. 10. 6.)
Ⅱ. 미국의 고용시장 부진 배경과 향후 전망(2010. 10. 26.)
Ⅲ. 품목별, 소득계층별로 본 미국 개인소비의 부진(2010. 11. 3.)
Ⅳ. 미국의 주택압류(foreclosure) 지속 요인과 전망(2011. 1. 7.)
Ⅴ. 미국 잠재성장률 하락 가능성에 대한 논쟁 및 시사점(2011. 3. 3.)
Ⅵ. 미국의 재정적자 감축방안을 둘러싼 논의 및 전망(2011. 5. 6.)
Ⅶ. 미국의 경기회복 모멘텀 약화 가능성 점검(2011. 6. 10.) 441
Ⅷ. 과거 사례에 비추어 본 미국의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2011. 6. 28)
Ⅸ. 최근 미국의 고용시장 상황 및 전망(2011. 6. 30.)
Ⅹ. 최근 미국 금융회사의 대출동향과 평가(2011. 8. 25.)
Ⅺ. 금융위기 이후 미국경제의 성장경로 변화(2011. 9. 20)
Ⅻ. 미국고용위기의 원인에 대한 논의 및 대책 전망(2011. 11. 3.)
XIII. 최근 미국 은행산업의 리스크 요인 분석(2011. 11. 11.)
XIV. 미국 경제의 ‘일본화’(Japanification) 가능성 평가(2011. 11. 11.)
XV. 미국 경기회복 제약요인으로서 주택시장 부진 평가(2011. 11. 28.)
XVI. 미국의 시스템리스크 관련 세부규제 방안 추진 상황(2011. 12. 1.)
XVII. 최근 미국의 소득격차 확대에 대한 논의 및 향후 전망(2011. 12. 8.)
XVIII. 미국 주택금융시장의 구조 개혁과 향후 전망(2012. 1. 2)
XIX. 미국가계의 디레버리징 종료 가능성 평가(2012. 1. 13.)
[중권]
제1장 세계경제의 주요 리스크(2부)
중국경제 경착륙 가능성
Ⅰ. 중국 제조업의 환경변화와 향후 전망(2010. 9. 6.)
Ⅱ.「차이나모델」에 관한 논쟁(2011. 2. 9.)
Ⅲ. 중국 무역수지의 구조적 특징과 향후 전망(2011. 5. 20.)
Ⅳ. 중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 평가(2011. 7. 7.) 58
Ⅴ. 중국의 중진국 함정 논란과 시사점(2011. 7. 29.)
Ⅵ. 중국 부동산가격의 평가 및 전망(2011. 11. 14.)
Ⅶ. 중국 소비율의 지속적인 하락과 정책방향(2011. 11. 29.)
Ⅷ. 중국 인구구조의 변화추이와 시사점(2011. 12. 13.)
신흥경제국 동향 및 리스크
Ⅰ. 이슬람금융의 최근 동향 및 전망(2011. 4. 25.)
Ⅱ. 신흥경제국 소비의 성장잠재력 평가 및 시사점(2011. 5. 2.)
Ⅲ. 터키 경제의 고성장 배경 및 리스크 요인(2011. 6. 13.)
Ⅳ. 인도경제의 지속적 고성장을 위한 과제(2011. 7. 12.)
Ⅴ. 브릭스(BRICs)의 에너지 수급 현황과 향후 전망(2011. 7. 26.)
Ⅵ. 브릭스(BRICs)의 재생에너지 확대 배경과 전망(2011. 8. 30.)
Ⅶ. 인도 채권시장의 현황 및 개선 과제(2011. 9. 28.)
Ⅷ. 국제금융센터로서 홍콩·상하이 평가 및 전망(2011. 9. 28.)
Ⅸ. 최근 국부펀드의 투자전략 변화와 향후 전망(2011. 10. 25.)
Ⅹ. 'CIVETS(시베츠)' 경제의 부상 배경과 리스크 요인(2011. 11. 22.)
Ⅺ. 러시아 경제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과제(2011. 12. 20.)
Ⅻ. 중국-대만간 ECFA의 대만경제에 대한 영향 및 시사점(2012. 1. 10)
XIII. 최근 인도 루피화 환율의 급등 배경과 평가(2012. 1. 13)
XIV. 유로지역 국가채무문제 악화가 신흥경제국에 미치는 영향(2012. 1. 17.)
제2장 주요국의 정책대응
Ⅰ. 재정긴축 논쟁(austerity debate)과 전망(2010. 8. 19.)
Ⅱ. 주요국 통화정책의 재완화 움직임과 시사점(2010. 9. 14.)
Ⅲ. 연준 QE2의 효과에 대한 평가와 전망(2010. 11. 15.)
Ⅳ. 신흥시장국 주가․채권가격․환율 강세의 배경과 정책대응(2010. 12. 1.)
Ⅴ. 1980년대 이후 미국의 환율정책 변화(2010. 12. 17.)
Ⅵ. 미국 新재정정책의 영향과 전망(2010. 12. 29.)
Ⅶ. 신흥시장국 인플레이션 현황과 정책대응(2011. 1. 17.)
Ⅷ. 중국 불태화 정책의 현황과 향후 전망(2011. 5. 24.)
Ⅸ. 브라질의 환율안정 정책의 유효성(2011. 6. 24.)
Ⅹ. 미국 재정정책의 특징과 평가(2011. 7. 19.)
Ⅺ. 미국 장외파생상품시장 세부규제방안의 최근 논의(2011. 9. 6.)
Ⅻ. 선진국 경제 불안에 대한 중국의 대응 전망 및 시사점(2011. 10. 4.)
XIII. 제로금리 하에서 연준 통화정책 수단의 효과와 한계(2011. 10. 5.)
XIV. 중국 통화정책의 최근 기조 평가 및 전망(2011. 10. 19.)
XV. 주요 신흥경제국 중앙은행의 금융안정 기능(2011. 11. 22.)
XVI. 최근 신흥경제국의 통화정책 여건변화 및 전망(2011. 12. 16.)
XVII. 중앙은행 정책금리 전망 공표의 현황과 시사점(2012. 1. 17.)
[하권]
제3장 세계경제 및 금융시스템 구조변화
국제금융시장
Ⅰ. 위안화 절상 요구에 대한 중국의 입장(2010. 10. 13.)
Ⅱ. 1985년 플라자 합의의 이행과정과 시사점(2010. 11. 3)
Ⅲ. 위안화의 국제화 추진 현황과 과제(2010. 11. 10.)
Ⅳ. 국제통화시스템 변경논의의 배경과 향후 전망(2011. 2. 14.)
Ⅴ. 최근의 위안화 채권시장 동향 및 향후 전망(2011. 6. 16.)
Ⅵ. 최근 글로벌 불균형 축소 논의의 주요 내용(2011. 6. 17.)
Ⅶ. 엔화가 안전자산으로 평가되는 배경(2011. 8. 9.)
Ⅷ. 최근 위안화 국제화 추진의 성과와 한계 및 향후 전망(2011. 8. 30.)
Ⅸ. 중국의 그림자금융(Shadow Finance) 현황 및 평가(2011. 11. 11.)
Ⅹ. 최근 중국-브라질 환율 논쟁 배경과 시사점(2011. 12. 14.)
국제원자재시장
Ⅰ. 중국 주요곡물 수급 현황과 향후 전망(2011. 2. 22.)
Ⅱ. 최근 WTI-브렌트간 가격역전의 주요 원인(2011. 3. 14.)
Ⅲ. 세계 원자력발전 산업의 현황과 향후 전망(2011. 4. 20.)
Ⅳ. 1970년대 국제곡물가격 급등락의 원인 및 시사점(2011. 5. 25.)
Ⅴ. 국제원자재 파생상품시장의 최근 동향과 영향(2011. 10. 19.)
Ⅵ. 국제유가의 고수준 지속 가능성 평가(2011. 11. 4.)
제4장 국가별 이슈
Ⅰ. 일본의 소비세 인상논란의 배경과 전망(2010. 8. 10.)
Ⅱ. 일본 제조업 경쟁력 평가와 시사점(2010. 9. 28.)
Ⅲ. 1990년대 이후의 엔화 강세와 경제에 미친 영향(2010. 12. 15.)
Ⅳ. 중국의 해외투자 패턴 변화와 향후 전망(2011. 1. 4.)
Ⅴ. 동일본 대지진의 영향과 향후 전망(2011. 3. 21.)
Ⅵ. 중국 경제통계 개혁의 주요 내용 및 향후 과제(2011. 4. 4.)
Ⅶ. MENA지역 민주화 움직임 확산이 중국경제에 미칠 영향(2011. 4. 7.)
Ⅷ. 일본의 재정사정 악화 배경과 전망(2011. 5. 11.)
Ⅸ. 일본의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논의 상황과 향후 전망(2011. 6. 20.)
Ⅹ. 일본의 저출산 현황과 정책 대응(2011. 8. 2.)
Ⅺ. 독일 “고용기적”의 배경과 전망(2011. 8. 11.)
Ⅻ. 중국의 금리 자유화 현황 및 전망(2011. 8. 17.)
XIII. 최근 일본의 산업공동화 우려 증대 배경과 전망(2011. 9. 21)
XIV. 중국의 유로지역 지원에 관한 논란과 향후 전망(2011. 10. 25.)
XV. 동·서독 통일 21년간의 경제성과 및 평가(2011. 10. 27.)
XVI. 중국의 자본자유화 정도에 대한 평가 및 시사점(2012. 1.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