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 총서 2012-15-4(A) International case study :Japan :a study and analysis of the present status of social capital in Japan
(사회적 자본의 법제화(I))해외사례 연구: 일본일본의 사회적 자본 현황 분석과 고찰
- 저자
- 이응철
- 단체저자
- 한국법제연구원
- 발행사항
- 서울 한국법제연구원 2012
- 형태사항
- 217 p. 도표 25cm
- 총서사항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 총서 2012-15-4
- 원표제
- (A) International case study : Japan : a study and analysis of the present status of social capital in Japan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205-217)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2108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210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요약문
Abstract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배경과 목적
1. 사회적 자본의 개념
제2장 일본 사회의 구조의 특징
제1절 일본의 사회의 구조
제2절 일본 사회 구조의 문제점
1. 정부부분과 민간부분과의 관계(정부 주도의 경제사회 시스템)
2. 정부와 지방 자치체와의 관계(집권형의 행정 시스템)
3. 기업과 개인과의 관계(기업 중심 사회)
4. 지금까지의 일본 사회의 구조에 내재 하는 악순환
제3절 일본의 지역사회의 특징과 정서
1. 전통 회귀적 현상: 일본인의 의식 대전환기
2. 여성 지향적인 정서 상승
3. 사생활 우선과 사회성의 후퇴
제4절 일본인의 집단수조와 특징
1. 일본인의 집단수조와 특징
2. 개인 간의 일대일 관계의 집합체인 집단
3. 일본 사회의 조직(Organization)
4. 일본인과 조직
5. 일본의 사회구조 특징
제3장 일본의 사회적 자본 정책
제1절 사회적 자본의 국제적 동향
1. 세계 각국 대처 상황
2. 영국의 대처 상황
3. 국제기구의 대처 상황
4. 세계은행(World Bank)
제2절 사회적 자본과 정책 추진에 따른 논의
1. 네트워크 이론
2. 집단의 성질 차이, 어떤 참가가 사회적 자본을 향상시키는가?
3. 인터넷 등의 뉴미디어가 가져오는 영향
제3절 사회적 자본과 정책의 필요성
1. 사회적 자본은 정책적으로 제어해야 하는가?
2. 사회적 자본은 정책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가?
3. 사회적 자본에 관한 정책 분야는 좁힐 수 있는가?
4. 주목해야 할 분야
제4절 사회적 자본과 정책추진의 가능성
1. 정량 분석을 중심으로 본 정책추진 가능성
2. 각 정책 분야에서 사회적 자본의 평가
제5절 사회적 자본에 관한 정책 추진의 기본적인 개념
1. 정책 추진의 방향성
2. 사회적 자본의 외국 정책에 대하여
3. 사회적 자본을 계속 유지하는 관점
4. 정책 추진에 임하는 자세
제6절 개별 분야에서 정책 전개의 방향
1. 일과 생활의 균형(work life balance)의 관점
2. 친밀하고 가벼운 활동
3. 시민 활동
4. 경제 격차의 시정(是正)
5. 건강
6. 기업 활동
7. 교육
제4장 일본의 사회적 자본
제1절 일본의 사회적 자본의 현황
1. 국제 비교의 관점으로 본 일본의 사회적 자본의 수준
2. 시계열 관점으로 본 일본의 사회적 자본의 변화
3. 사회적 자본은 왜 큰 주목을 받고 있는가?
제2절 사회적 자본의 정량적 파악
1. 사회적 자본의 정량적 파악의 의의
2. 사회적 자본의 정량적 파악의 국제 비교
3. 사회적 자본의 정량적 파악의 지역 비교
4. 국내의 시도
5. 정량적 파악과 분석의 방법
6. 단순 통계를 통한 결과 및 고찰
7. cross 집계 결과 및 고찰
8. 사회적 자본의 지수화에 의한 정량적 분석
9. 지역별 사회적 자본에 관한 지수
10. 지수화로 본 사회적 자본의 지역별 유형
11. 사회적 자본의 양성 과정
12. 사회적 자본의 변용과 시민 활동의 요소
13. NPO와 사회적 자본
14. 사회적 자본 양성을 위한 시민 활동의 기대와 과제
15. 사회적 자본과 경제성장
16. 사회적 자본의 정책적 함의와 논점
제5장 사회적 자본을 통한 지역 활성화
제1절 사회적 자본과 지역의 힘
1. 지역의 힘은 지역의 개인과 조직이 만드는 히이다.
2. 사회적 자본과 지역의 힘의 관계
3. 지역력과 사회적 자본 그리고 NPO의 위치
4. 환경과 사회적 자본 둘러싼 논의
5. 지역력과 사회적 자본을 둘러싼 논의
6. 마을 만들기 조례의 제정을 규정하는「환경 NPO」ㆍ「NPO」ㆍ「지연 조직」
7. 사례 지역 - 愛知?(시민참가)
제6장 결론
참고문헌
제7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