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KEI 연구보고서 2011-13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indicators and an operating guideline for social impact assessment
사회영향평가 지표 개발 및 운영 가이드라인 마련 연구
- 저자
- 조공장
- 단체저자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발행사항
- 서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1
- 형태사항
- 157p. 삽도 25cm
- 총서사항
- KEI 연구보고서 2011-13
- 원표제
-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indicators and an operating guideline for social impact assessment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101-105)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1398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139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제2장 현황 및 문제점
1. 관련 규정
가. 사회영향평가
나. 보상 제도
2. 주요 사업의 사회영향 특징
가. 개관
나. 기사로 확인하는 사회영향
다. 주요 사업유형 사례 분석
3. 소결
제3장 사회영향평가 지표
1. 공정한 사회영향평가
가. 공정에 관한 이론
나. 인권과 사회영향평가
다. 최근 사회영향평가 논의
2. 사회영향평가 지표 개발
가. 선행연구
나. 지표 개발
3. 소결
제4장 사회영향평가 운영 가이드라인
1. 해외 사례 및 선행연구
가. 호주 퀸즐랜드주의 사회영향평가
나. 참여영향평가 방법
2. 모의실험 워크숍
가. 개요
나. 모의실험 1: 부산 녹색도시
다. 모의실험 2: 세종시 이주
라. 사후평가
3. 운영 가이드라인
가. 개관
나. 스코핑
다. 조사
라. 예측
마. 평가
바. 저감
사. 모니터링
제5장 결론 및 제언
1. 요약
가. 현황 및 문제점
나. 사회영향평가 지표 개발
다. 운영 가이드라인
2. 향후 과제
참고문헌
부록
부록 1. 국내외 사회영향평가 지표
부록 2. 호주 사회영향평가 사례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