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보고서KIET 12-01

(산업기술투자의 연계를 통한)2020년 무역발전 비전과 전략

단체저자
산업연구원
발행사항
서울 산업연구원 2012
형태사항
346p. 도표 25cm
총서사항
KIET 12-01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P421915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P42191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I. 교역 1조 달러 달성의 의의 1. 무역대국 실현의 의의 2. 확대재교역 경제의 의미 3 교역 1조 달러 시대의 새로운 지향 II. 무역 성과에 대한 성찰과 평가 1. 한국경제에 있어 무역입국론의 의미 2. 무역증대가 국민경제에 얼마나 도움이 되었는가? 3. 무역증대와 산업 및 기술 고도화의 관계 4. 앞으로 무역확대를 통해 얻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가? III. 글로벌 환경변화와 한국의 경쟁력 1. 무역에 영향을 미칠 글로벌 이슈 1-1 글로벌 재정위기 확산과 경제 불확실성 증대 1-2. 신흥국들의 부상과 국제분업구조의 변화 1-3. 달러화의 위상 약화와 국제통화질서의 변화 움직임 1-4.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와 기업 내 무역 확산 1-5. 정치경제적 동기의 경제블록화 현상 심화 1-6. 자원민족주의와 환경보호주의의 대두 1-7. 기술규제를 이용한 표준보호주의의 대두 2. 국제분업체제하에서 한국 산업의 경쟁력 평가 2-1. 한국 산업의 비교우위 구조와 경쟁력의 현 주소 2-2. G2 시대 동북아 분업구조 분석 및 전망 2-3. 한국·중국·일본의 국제분업구조 분석 2-4. 산업경쟁력의 역동성 평가 2-5. 서비스 교역 경쟁력 IV. 2020년 한국 무역의 모습 1. 2020년 무역 전망 1-1. 2020년 무역규모 및 위상 1-2. 무역의 변화된 모습 2. 주요 산업군별 무역발전 비전 2-1. 기계산업군 2-2. 소재산업 2-3. IT산업 3. 한국 무역의 새로운 지평 3-1. 무역과 글로벌 투자의 연계 3-2. 무역과 산업 및 기술 혁신의 연계 3-3. 무역과 한류 등 문화의 연계 3-4. 무역과 자원개발의 연계 3-5. 무역과 국제개발협력의 연계 3-6. 무역과 방위산업의 연계 V. 교역 1조 달러 이후의 10대 주요 과제 1. 스마트 통상전략을 통한 무역의 지속성장 추구 2. 서비스 교역의 활성화를 위한 특별한 노력 3. 중소·중견기업의 글로벌 역량 확충 4. 산업의 글로벌화와 무역의 새로운 관계 정립 5. 신흥시장 및 전략국가와의 교역 확대 6. 프로젝트 파이낸싱 역량 구축 7. 글로벌 무역인력에 대한 새로운 접근 8. 선진 무역인프라 구축 9. 국가브랜드 마케팅 전략 10. 무역안전망 및 위기관리 체제 구축 VI. 선진무역국을 향한 도전과 대응 1. 한국 무역이 당면한 도전과 기회 2. 세계무역의 중심적 위치로 이동 3. 국제 공급사슬의 선도적 역할 강화 4. 역동적 글로벌 기업의 저변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