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보고서KIET 연구보고서 2015-740Strategy for Future Manufacturing in Response to Industrial Paradigm Shift

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미래 제조업의 발전전략: 미래형차 소재 바이오 사물인터넷을 중심으로

단체저자
KIET | 산업연구원
발행사항
세종 산업연구원 2015
형태사항
369 p. 도표 그래프 24 cm
총서사항
KIET 연구보고서 2015-740
서지주기
참고문헌(p.347-352)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P423904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P423904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추진 배경 (2)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산업적 범위 (2) 연구방법 및 차별성 (3) 연구의 이론적 배경 제2장 산업 패러다임의 변화와 제조업의 발전 1. 산업 패러다임의 변화 (1) 융합을 통한 산업간 경계 파괴 (2) 혁신 속도의 가속화 및 혁신 주기의 단기화 (3) 산업 가치사슬의 파괴 (4) 대량생산에서 대량맞춤생산, 대량 개인화 방식으로 진화 2. 산업 패러다임 전환에 대응하는 제조업의 변화방향 전망 (1) 제조업의 서비스화 확산 및 비즈니스 모델의 다양화 (2) 디지털 혁신기술의 적용확대와 산업발전 주도 (3) 제품의 시스템화 확산 (4) 지식재산의 활용 강화 (5) 인수합병과 제휴의 확산 : 신기술 확보, 사업 시너지 등 목적 제3장 스마트카 산업의 발전전망과 미래 포지셔닝 1. 현황 및 트렌드 (1) 자동차산업 트렌드 변화 (2) 스마트 자동차의 부상과 개발 경쟁 2. 기술 및 생산의 혁신 (1) IT기술과 자동차산업의 융합 (2) 스마트자동차 산업생태계 변화 3. 비즈니스 모델의 혁신 (1) 스마트 자동차와 부품산업 구조 변화 (2) 자동차 비즈니스 산업 현황과 변화 4. 미래 포지셔닝과 도전과제 제4장 융복합소재 산업의 발전전망과 미래 포지셔닝 1. 현황 및 트렌드 (1) 소재산업의 특징 (2) 소재산업 분야 국가 전략의 특징 (3) 소재산업의 주요 시장 전망 (4) 소재산업의 주요 트렌드 2. 기술 및 생산의 혁신 (1) 소재 응용분야의 확대를 통한 혁신 (2) 경량화 및 가치사슬간 융합화 혁신 (3) 기술 및 생산 혁신에서의 생태계 및 역량 수준 조사 3. 비즈니스 모델의 혁신 4. 미래 포지셔닝과 도전과제 제5장 융합바이오·스마트헬스케어의 발전전망과 미래 포지셔닝 1. 현황 및 트렌드 (1) 개념 및 최근 성장 추이 (2) 바이오기술 발전과 융합을 통한 파괴적 혁신의 확대 (3) 의약품, 의료기기, 의료서비스산업간 융합 추세 확산 2. 기술 및 생산의 혁신 (1) 신약 개발 메커니즘의 변화와 제약기업의 비즈니스 다양화 (2) 기술 혁신의 자원, 개인정보 및 빅데이터 활용 경쟁 확산 (3) 진단, 예방, 관리 중심의 헬스케어산업 생태계 안착 3. 비즈니스 모델의 혁신 (1) 유전정보·건강정보·의료정보 연계된 통합형 비즈니스 모델 (2) 생태계 구성원 간 유기적 연계 모델 4. 미래 포지셔닝과 도전과제 (1) 한국 융합바이오·스마트헬스케어 산업의 경쟁력 현황 (2) 미래 포지셔닝 (3) 한국 융합바이오·스마트헬스케어 산업의 도전과제 제6장 사물인터넷 산업의 발전전망과 미래 포지셔닝 1. 현황 및 트렌드 (1) 사물인터넷 트렌드 (2) 국내 사물인터넷 현황 2. 기술 및 생산의 혁신 (1) 사물인터넷 기술을 통한 4차 산업혁명 (2) 생산공정 및 제품의 혁신 3. 비즈니스 모델의 혁신 (1) 다양한 신사업 창출 주도 (2) 비즈니스 모델의 변화 4. 미래 포지셔닝과 도전과제 (1) 한국 사물인터넷의 미래 포지셔닝 (2) 한국 사물인터넷의 도전과제 제7장 미래 제조업의 성장역량 평가 및 정책수요 분석 1. 기업의 혁신역량 및 미래준비 인식 실태조사 (1) 설문조사 개요 (2) 혁신성과 (3) 산업생태계의 수준과 향후의 생태계 중요성 (4) 혁신활동의 수준과 지속성장을 위한 중요성 2. 산업경쟁력 수준 및 지원정책 수요 (1) 산업경쟁력 수준 (2) 지원정책에 대한 수요 3. 미래 제조업의 혁신 및 정책과제 영향요인 실증분석 (1) 실증분석 모형의 개요 (2) 분석 모형의 변수 구성 (3) 실증분석 결과 제8장 스마트카 및 융합소재 산업의 동태적 성장과 산업적 파급영향 분석 1. 시스템다이내믹스와 피드백 구조 분석기법 2. 스마트카 산업의 분석 (1) 미래형자동차 산업 발전의 동태성에 대한 검토 (2) 미래자동차 산업의 발전과 파급효과에 대한 피드백 구조분석 3. 미래자동차 산업의 발전과 파급효과에 대한 시뮬레이션 (1) 시스템다이내믹스 및 시뮬레이션 기법과 모델 작성 (2) 시뮬레이션 분석결과 (3) 분석결과의 함의 4. 융복합소재 산업의 발전과 파급요인분석 (1) 융복합소재 산업 발전 동인 (2) 융복합소재 산업의 피드백 구조 (3) 분석결과의 함의 제9장 미래 제조업의 발전전략 1. 초스마트사회를 준비하는 기본 발전방향과 미래 포지셔닝 (1) 변화에 대한 선제적 대응능력 강화 (2) 제조업의 선진국형 전환과 개념 재정립 (3) 산업의 전략적 미래 포지셔닝 2. 제조업의 미래 전략 (1) 제조업의 시스템화 역량 강화 (2) 소비자와 사회의 미래수요에 대응하는 투자전략의 수립 (3) 기술개발의 추격형 전략과 선도형 전략 조화 (4) 중소벤처기업을 지원하는 지식재산 전략의 강화 (5) 동적역량 강화를 위한 외연확대 지향적인 개방혁신 강화 (6) 초스마트 사회에의 준비를 위한 우선순위별 정책과제 3. 4개 미래산업의 발전전략 (1) 스마트 자동차 (2) 융복합소재 (3) 융합바이오·스마트헬스케어 (4) 사물인터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