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KIET 연구보고서 2019-923
최근 중국 산업정책의 방향과 주요 내용
- 발행사항
- 세종 산업연구원 2019
- 형태사항
- 196p. 표 24cm
- 총서사항
- KIET 연구보고서 2019-923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93-196)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5571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557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2016년 이후 계획, 지침, 지도의견 등 다양한 형태로 발표된 중국의 산업정책을 살펴보고, 우리 산업 및 기업에 대한 시사점 및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 본 연구는 구체적인 후속 조치나 세부 계획 등을 중심으로 중국 산업정책의 내용 및 흐름을 면밀히 파악하고, 방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한국의 산업정책 수립 및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분석, 대응전략 마련 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뿐 아니라, 추후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중국 종합산업발전계획의 후속 조치와 세부 추진전략
1. <중국제조 2025>의 후속 조치와 세부 추진전략
(1) <중국제조 2025>의 주요 내용
(2) <중국제조 2025> ‘1+X’ 규획 체계 발표
(3) <중국제조 2025>의 실행을 위한 지침
(4) <중국제조 2025>의 추진 상황과 시사점
2. 중국의 혁신정책과 후속 조치
(1) 쐉촹(双创) 정책의 주요 내용과 후속 조치
(2) 기술발전 지침 및 계획
(3) 제조업 혁신시스템 및 인프라 구축 정책
(4) 중국 혁신정책의 의의 및 시사점
3. 제조업 전반의 발전전략 및 지원정책
(1) 인터넷+ 정책의 공업 부문 후속 조치 및 세부 추진 전략
(2) 공업화와 정보화 융합 발전계획(2016~2020)
(3) 스마트 제조 발전계획(2016~2020)
(4) 2017년 소비재 공업 ‘3품(三品)’ 특별 행동계획
(5) 제조업의 서비스화를 위한 특별 행동 지침
(6) 안정적인 공업 성장, 구조조정 및 수익 증대를 위한 금융지원에 관한 의견
(7) 제조업의 친환경화 정책
(8) 주요 제조업 발전정책의 의의 및 시사점
제3장 주요 업종별 발전계획 및 후속 조치
1. 수송기계산업
(1) 자동차
(2) 조선 및 해양플랜트
(3) 드론
2. 장비 및 로봇 산업
(1) 장비산업 전반의 육성정책
(2) 3D프린팅산업
(3) 로봇산업
3. 에너지 및 관련 장비산업
(1) 석유산업
(2) 전반적인 에너지기술 혁신
(3) 태양광산업
(4) 에너지장비산업
4. 소재산업
(1) 신소재
(2) 철강
(3) 비철금속
(4) 화학산업
(5) 섬유
5. 4차 산업혁명 기반기술산업
(1) 정보통신산업
(2) 인공지능산업
(3) 빅데이터산업
(4) 클라우드 컴퓨팅
(5) 사물인터넷
6. 4차 산업혁명 관련 및 활용 산업
(1) 스마트 하드웨어산업
(2) 정보 소비 및 기반 서비스업
(3) 스마트 유통
7. 스마트 헬스케어 및 식품
(1) 스마트 헬스케어에 대한 전반적인 계획 및 조치
(2) 스마트 헬스와 양로산업
(3) 의약산업
(4) 식품산업
제4장 시사점
1. 정책의 특징
2. 기업에 대한 시사점
3. 정부에 대한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