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KEI 연구보고서 2015-08Regional resources management strategies considering climate change adaptation
기후변화 적응을 고려한 지역자원 관리 방안(I)
- 단체저자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발행사항
- 세종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5
- 형태사항
- 182 p. 도표 그래프 25 cm
- 총서사항
- KEI 연구보고서 2015-08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67-176)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3909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390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의 개요
가. 연구 배경 및 목적
나. 추진체계 및 범위
다. 연구 방법 및 과정
2. 선행 연구 분석
가. 기후변화 적응에 관한 연구
나. 지역자원의 관리에 관한 연구
다. 선행 연구와 본 연구와의 차별성
제2장 메가트렌드 기반 기후변화 적응전략 도출
1. 메가트렌드에 기초한 사회경제적 주요 변화
가. 메가트렌드 개념
나. 메가트렌드 사례 및 분석방법
다. 메가트렌드에 따른 사회경제적 변화
2. 기후변화 적응의 핵심 이슈 및 전략 도출
가. 기후변화 적응전략의 흐름과 전개
나. 기후변화 적응 이슈 및 전략 도출
다. 전문가 평가에 기초한 기후변화 적응 핵심전략 도출
라. 기후변화 적응 핵심전략과 지역자원 관리와의 연관성 분석
3. 메가트렌드-기후변화 적응전략-지역자원 상호 관계성
제3장 사례지역 지역자원 관리방향
1. 지역자원의 정의 및 유형
가. 선행 연구의 지역자원 정의 및 유형
나. 기후변화 적응 관점의 지역자원 유형
2. 지역자원을 고려한 사례대상지역 선정
3. 사례대상지역의 지역자원 활용 및 관리 방향
가. 순천만
나. 보성 녹차밭
다. 동강 97
라. 한려해상국립공원
마. 제주도 생물권보전지역
4. 사례대상지역의 지역자원 관리특성 종합
제4장 적응을 고려한 지역자원 관리 정책 방향
1. 적응 기반 자원관리 및 활용 체계 구축
가. 자원 조사 및 발굴
나. 자원 보전 및 활용
다. 적응기반 지역자원 보전·활용모델 구축
2. 지역자원과 기후변화 영향평가 연계 체계 구축
가. 서로 다른 접근방법
나. 지역자원 관리와 기후변화 영향평가의 연계체계
3. 지역자원관리의 기후변화적응대책 반영
가. 기초지자체 적응대책 수립특징
나. 기후변화 적응대책의 개선방향
제5장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