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KEI 기후환경정책연구 2015-03A study on appropriate distribution for utilization of waste resources and bioenergy(Ⅱ) : focusing on woody biomass
폐자원 및 바이오에너지의 용도별 적정 배분방안(Ⅱ):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중심으로: 환경·경제의 상생 기반 구축 및 잠재력 활성화
- 단체저자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발행사항
- 세종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5
- 형태사항
- 135 p. 삽도 26 cm
- 총서사항
- KEI 기후환경정책연구 2015-03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15-118)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3819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381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대상 및 범위
제2장 목질계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의 범위
1. 선행연구에서의 목질계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 분류
2. 본 연구에서의 목질계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 분류
제3장 국내외 목질계 바이오매스 활용 및 정책 동향
1. 국외 목질계 바이오매스 활용 및 정책 동향
가. 개관
나. 독일
다. 영국
2. 국내 목질계 바이오매스 활용 및 정책 동향
가. 목질계 바이오매스 활용 현황
나. 신ㆍ재생열에너지 관련 정책 현황
제4장 국내 목질계 바이오매스 가용에너지양 산정
1. 목질계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 가용에너지양 산정 개요
가. 선행연구에서의 가용에너지양 산정 방법
나. 가용에너지양 산정 방법론
2. 국내 목질계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 항목별 가용에너지양 산정
가. 임목폐목재
나. 생활폐목재
다. 건설폐목재
라. 사업장폐목재
마. 임목부산물
바. 농수산부산물
사. 바이오순환림
3. 국내 잠재량 총괄 및 발전 사용량 제외
4. 목질계 바이오매스 수입량
제5장 RHO 제도 시행에 따른 목질계 바이오매스 수요 전망 및 화석연료 대체효과
1. 국내 열에너지 수요 및 시장 현황
2. 시나리오 분석을 통한 열에너지 수요 전망
가. 대안 1(신축건물 소유주에 의무 부과)
나. 대안 2(집단에너지 사업자에 의무 부과)
3.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열에너지 수요전망
가. 열에너지원별 단가 분석
나. 바이오에너지를 통해 대안 1, 대안 2를 모두 만족시키는 경우
다. 생산단가에 따라 혼합비율을 결정하는 경우
4. 목질계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의 화석연료 대체효과
가. 시나리오 선정
나. 비용 대체효과
다. 온실가스 및 유해대기오염물질 대체효과
제6장 결론 및 제언
1. 목질계 바이오매스 가용에너지양 및 수요전망 분석 종합
2. RHO 제도 도입에 대비한 정책적 제언
가. 국내 추가 공급가능량 발굴
나. 타 바이오매스 잠재량 파악
다. 열부문 목질계 바이오매스 표준화 및 수입 바이오매스 관리 측면
라. 타 신ㆍ재생에너지원 지원 측면
참고문헌
부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