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KMI 기본연구 2011-01Estimating gross ocean products of Korea with policy implications for its marine sector
해양총생산(GOP) 추계 및 증대방안 연구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1685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1685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Executive Summary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1) 연구 범위
2) 연구의 주요 내용
3) 연구의 방법
3. 연구의 차별성
1) 선행연구 검토
2) 본 연구의 차별성
제2장 해양산업 분류 및 해양경제 통계 검토
1. 해양산업 정의 및 분류
1) 해양산업의 정의
2) 해양산업의 분류
2. 국내 해양경제 통계 검토
3. 종합적 해양계정체계의 필요성
제3장 해양경제 통계에 관한 해외사례 분석
1. 중국의 해양경제 통계 분석
1) 개요
2) 해양산업 분류
3) 해양산업에 관한 통계체계
4) 문제점과 향후 해결과제
2. 미국의 해양경제 프로그램
1) 미국 해양산업의 분류
2) 미국의 연안경제 및 해양경제 분석
3. 평가 및 시사점
1) 해양경제 통계 구축의 배경과 필요성
2) 기술적 고려사항
3) 종합적 해양계정체계 구축의 필요성
제4장 국내 해양경제 지표 추계
1. 추계작업의 개요
2. 해양산업의 산출액 및 수입액 추정
1) 추정 방법
2) 추정 결과
3. 해양산업 중심의 산업연관표 추계 결과
1) 해양산업의 부가가치
2) 해양산업의 수출입 및 수급 구조
4. 타 부문과의 비교
1) 산출액
2) 부가가치
3) 수출입
4) 취업자 수
5. 국내 해양산업의 산업연관효과 분석
1) 전후방연쇄효과
2) 생산유발효과
3) 부가가치 유발효과
4) 취업 유발효과
6. 분석결과 종합
제5장 해양총생산 확대를 위한 정책 방향
1. 국내 해양산업의 위상 및 발전 여건 평가
1) 국민경제에 대한 7대 해양산업의 위상 분석
2) 7대 해양산업의 무역특화지수 분석
3) 시사점
2. 국내 해양산업 발전 여건 평가
1) 공급사슬 분석
2) 혁신 여건 분석
3) 기회 및 위협 요인
3. 해양산업 발전전략에 관한 해외사례 분석
1) 영국
2) 아일랜드
3) 중국
4. 해양산업에 관한 종합적 정책 수립의 필요성
5. 국내 해양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 방향
제6장 결론
1. 요약
2. 정책 제언
1) 해양산업 발전 잠재력 평가와 정책 구상을 위한 태스크포스 설치
2) 해양산업에 관한 총조사 실시 및 혁신 플랫폼 구축
3) 혁신친화적 제도 확립
4) 해양산업 전담부서 설치
참고문헌
부록 1. 중국의 해양 및 연관 산업 분류(중국 국가 표준 GB/T 20794―2006, 2007.5.1 시행)
부록 2. 중국의 해양통계 보고 서식의 주요 내용과 담당기관
부록 3. 미국 NOEP가 설정한 해양산업 분류체계
부록 4. KSIC상의 세부산업과 연계한 해양산업 분류
부록 5. 해양산업과 산업연관표 기본 부문 연계
부록 6. 2008년 산업연관표 각 부문 중 해양산업 분리
부록 7. 해양산업 중심의 산업연관표 추계 결과(제1안)
부록 8. 해양산업 중심의 산업연관표 추계 결과(제2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