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보고서KEI 연구보고서 2011-01Development of intergrated impact assessment system to support climate change mitigation and adaptation policy in Korea Ⅱ

기후변화 통합영향평가모형 체계 개발: 정책연계모형개발을 중심으로 Ⅱ

저자
전성우
발행사항
서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1
형태사항
84p. 지도도표 25cm
총서사항
KEI 연구보고서 2011-01
서지주기
참고문헌 (p.77-81)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P419271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P41927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선행연구 1. 탄소세와 배출권거래제의 후생 측면의 등가성 가. 도식 개요 나. 오염배출저감 수단별 분배효과 다. 시사점 2. 온실가스 저감수단의 파급효과에 관한 국내외 연구 제3장 연료가격 국제비교 1. 에너지 가격 및 세금의 국제비교 - 요약 2. 주요 연료별 최종가격 및 세전가격 국제비교 가. 경유 나. 가정용 휘발유 다. 경질연료유(Light fuel oil) 라. 연료유 마. 액화석유가스(LPG) 바. 천연가스(Natural Gas) 사. 전력 제4장 해외의 탄소세 및 배출권거래제 운영 현황 1. 유럽연합(EU) 가. 유럽연합 배출권거래제(EU-ETS) 나. EU의 에너지 및 탄소세 도입 논의 다. EU의 에너지세제 개편 추진 동향 2. 핀란드 가. 핀란드의 에너지세 및 탄소세 나. 핀란드의 에너지세 제도 개편 주요내용 3. 스웨덴 가. 스웨덴의 에너지세 나. 스웨덴의 탄소세 다. 스웨덴의 에너지·탄소세 감면 관련 동향 라. 스웨덴의 탄소세와 EU-ETS와의 관계 마. 스웨덴의 에너지 ·탄소세 특징과 산업경쟁력 저해 방지 방안 4. 스위스 가. 스위스 기후변화 정책 개요 나. 스위스의 탄소세(CO₂levy) 다. 스위스의 배출권거래제 라. 스위스의 Climate Cent(기후 기금) 마. 스위스의 Building Programme 5. 덴마크 가. 덴마크의 조세구조 나. 덴마크의 에너지세 다. 덴마크의 탄소세 라. 전력소비에 대한 덴마크의 에너지세 및 탄소세 마. 덴마크의 탄소세와 EU-ETS의 관계 바. 탄소세 적용에 따른 경쟁력 저하 방지를 위한 정책 6. 캐나다 가.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의 탄소세 나. 캐나다의 배출권거래제 7. 호주 8. 독일 9. 일본 제5장 탄소세와 배출권거래제 특징 및 제도 도입 시 고려사항 1.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정책수단의 종류 및 특징 가. 탄소세의 개념 나. 배출권거래제의 개념 2. 탄소세의 특징 가. 탄소세 제도의 장점 나. 탄소세 제도만을 활용할 경우의 문제점 1 - 개관 다. 탄소세 제도만을 활용할 경우의 문제점 2 - 에너지다소비업종 라. 탄소세 제도만을 활용할 경우의 문제점 3 - 발전부문 마. 탄소세 신설 시 고려사항 3. 배출권거래제의 특징 가. 배출권거래제의 장점 나. 배출권거래제의 단점 다. 하이브리드 배출권거래제를 통한 가정/상업부문의 간접적 배출권거래제 참여 라.'에너지효율 개선성과와 배출권의 연계'를 통한 정책믹스 방안 제6장 부문별 정책수단 혼합 시 고려사항 1. 농립어업부문 가. 에너지 소비 현황 나. 농림어업부문 탄소세 제도 제안 다. 탄소세 부과 시 고려사항: 면세유 처리 문제 2. 가정부문 가. 에너지 소비 현황 나. 가정부문 탄소세 제도 제안 3. 상업부문 가. 에너지 소비 현황 나. 탄소세 정책 유효성 및 고려사항 4. 수송부문 가. 에너지 소비 현황 나. 온실가스 저감정책 도입 시 고려사항 - 운수업부문 감면조치 5. 발전부문의 온실가스 저감 압력 강화 방안 가. 무상할당 나. 유상할당 다. '탄소세 floor & 배출권거래제'동시 적용 6. 경제적 수단 도입에 따른 산업경쟁력 차원의 고려사항 가. 업종별 에너지원별 투입금액 및 에너지 집약도 나. 무역집약도 다. 수출집야도 라. 무역특화지수(TSI) 마. 수출기여도 제7장 탄소비용 발생에 따른 파급효과 분석 1. 적정 탄소세율의 산출 및 에너지원별 이산화탄소 배출비용 추정 가. 탄소세율 추정에 관한 이론적 고찰 나. 에너지원별 단위당 이산화탄소 배출비용 추정 2. 탄소비용 발생에 따른 소득계층별 파급효과 가. 소득 구간에 다른 계층별 구분 나. 소득구간별 에너지 사용량 다. 탄소비용 발생시 각 에너지원별 소비자 가격 변화 라. 탄소비용 발생에 따른 소득계층별 귀착 효과 3. 탄소비용 발생에 따른 파급효과-일반균형분석 제8장 요약 및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