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KIEP ODA 기초연구KIEP 연구자료 11-0111-10
G20 개발의제와 한국의 국제개발협력
- 저자
- 김종일
- 발행사항
-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
- 형태사항
- 279p. 도표 24cm
- 총서사항
- KIEP ODA 기초연구 KIEP 연구자료 11-01 11-10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265-276)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1656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165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머리말: 연구의 배경 및 구성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구성
제2장 G20 개발의제의 특징과 한국의 ODA 정책방향
1. 머리말
2. G20 개발의제의 내용
가. G20 개발의제의 배경
나. G20 개발의제의 내용
3. G20 개발의제의 특징
가. 성장지향적 개발협력
나. 개발협력에서의 시장 활용
다. 수원국의 역량 배양에 대한 강조
라. 시장친화적 성장전략
마. 국가 간 다양한 발전경로에 대한 인식과 개도국의 정책 주도
4. G20 개발의제의 의의와 한국의 ODA 정책방향
가. G20 개발의제의 의의
나. 한국의 ODA 정책방향
5. 맺음말
제3장 원조와 경제개발: 아프리카지역을 중심으로
1. 서론: 아프리카와 개발원조
2. 아프리카 개발원조의 역사와 원조효과성 논쟁
가. 개발원조의 역사와 최근 국제동향
나. 아프리카 개발원조의 역사
다. 대아프리카 원조금액과 개요
라. 아프리카 개발원조의 효과성 논쟁
마. 아프리카 수원국 입장에서 바라본 원조
3. 21세기 아프리카의 역동성과 중국의 대아프리카 개발원조
가. 아프리카의 부상(浮上)과 역동성
나. 중국의 대외원조 외교정책과 아프리카 진출
4. 한국의 대아프리카 경제협력 및 개발협력의 현황과 문제점
가. 아프리카의 가치와 중요성
나. 한국의 대아프리카 경제협력 현황
다. 한국의 대아프리카 개발협력 현황
라. 한국의 대아프리카 개발협력의 문제점
5. 한국의 대아프리카 개발원조의 방향과 전략
가. 한국의 대아프리카 개발협력의 기본방향
나. 대아프리카 개발협력의 중점추진분야 및 방안- 제안
제4장 ODA체계의 ‘개발을 위한 정책일관성’ 제고 방안
1. 개요
2. 개발을 위한 정책일관성 개념의 이해
3. 정책일관성 제고를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
가. 개발공헌도지수(CDI: Commitment to Development Index)
나. DAC 동료심사
4. 사례연구: EU
가. 정책과정
나. 분야별 분석
5. 정책일관성 제고를 위한 한국 ODA 체계 구축
가. 한국의 원조 현황 및 집행체계
나. 정책일관성에 대한 평가
다. 정책일관성 제고를 위한 ODA 집행체계 개선
6. 결론
제5장 한국의 경제발전에서 원조의 역할과 시사점
1. 머리말
2. 원조의 도입과 활용 실태
가. 원조 도입과 운영
나. 원조 도입의 실적
3. 원조와 1950년대 한국의 경제정책
가. 원조와 외환정책
제6장 맺음말: 연구의 주요 시사점 및 한계
1. 연구의 주요 시사점
2. 연구의 한계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