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국토연구보고서 2011-44Retirement of baby boom generation and the strategy for revitalization of rural areas in Korea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와 농촌활성화 전략 연구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1551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155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1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의 방법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1) 최근의 연구동향
2) 주요 선행연구 현황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4. 연구의 추진체계
2 베이비붐 세대의 일반현황 분석
1. 개념정의와 정책적 의의
1) 개념정의와 규모
2) 베이비붐 세대의 특성과 정책적 의의
2. 베이비붐 세대의 특성 분석
1) 일반현황과 공간적 분포
2)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경제적 특성
3 대도시 베이비붐 세대의 이도향촌 수요분석1
1. 이도향촌 의향과 이주 경로‧사유
1) 대도시 베이비붐 세대의 이도향촌 성향
2) 대도시 베이비붐 세대의 이주희망 농촌
3) 대도시 베이비붐 세대의 농촌이주 사유
2. 농촌공간의 선호구조
1) 분석방법
2) 분석모형
3) 분석결과
3. 농촌 이주‧정착을 위한 정책수요
4. 분석결과의 종합과 시사점
4 국내‧외 사례의 조사와 분석
1. 미국의 은퇴이주와 대응 사례
1) 미국의 은퇴이주에 관한 연구
2) 미국 주정부의 은퇴자 유치정책
2. 일본의 정책 사례
1) 농산어촌활성화프로젝트지원 교부금
2) 우량전원주택제도
3) 특정비영리활동법인 사토야마클럽(里山俱樂部)
3. 국내 지자체의 대응사례
1) 복합의료복지단지의 조성: 서천 어메니티 복지마을
2) 귀농‧귀촌 도시민의 정착을 위한 지원
4. 국내‧외 사례의 시사점
5 도시민 농촌 유치 제도 현황과 문제점 분석
1. 도시민 농촌유치 관련 정책
1) 전원주거단지 조성
2) 귀농‧귀촌 관련 대책
3) 건강‧장수‧노인복지 대책
2. 정책 추진 및 일자리 관련 제도
1) 광역‧지역발전특별회계의 포괄보조금제도
2) 일자리 관련 제도
3. 관련 정책‧제도의 문제점 분석
6 베이비붐 세대 은퇴에 대응한 농촌활성화 전략
1. 정책대응의 기본방향과 추진전략
1) 정책적 대응과제와 추진전략
2) 기존 정책‧사업의 활용가능성
3) 세부 실천방안의 도출
2. 베이비붐 세대 은퇴에 대응한 농촌활성화 정책방안
1) 새로운 농촌정주모델의 창출
2) 법‧제도적 개선방안
7 결론
1. 연구의 기대효과
1) 학술적 의의
2) 정책적 활용가능성
2. 연구의 특징과 한계
3. 정책건의와 향후 연구과제
4. 맺음말
참고문헌
SUMMARY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