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China's Carbon Neutralization Policy in Martime and Fishery Industries and its Implications
중국 해양수산분야 탄소중립 정책과 시사점
- 단체저자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발행사항
- 부산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22
- 형태사항
- 229p 도표, 지도 24cm
- 총서사항
- 2022-01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61-174) 수록
- 키워드
- 탄소중립, 블루카본, Carbon offsetting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7404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740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정책 제안 _i
요약 _iii
Executive Summary _xvii
01 서론 _1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1. 연구 배경과 필요성 1
2. 연구 목적 4
제2절 연구 방법과 내용 6
1. 연구 추진 방법 6
2. 연구 내용 8
3. 선행연구 분석 및 차별성 10
02 중국의 탄소배출 현황과 탄소중립 정책 _13
제1절 탄소중립의 개념과 의미 13
제2절 세계의 탄소중립 노력 15
제3절 중국의 탄소중립 실현 경로 17
1. 탄소배출 현황 17
2. 탄소중립 실현 경로 21
제4절 중국의 탄소중립 목표 및 정책 29
1. 탄소중립 목표의 제시 및 도전 29
2. 탄소중립 추진 전략 30
3. 탄소중립 관련 정책 및 주요 내용 32
목차
03 중국의 해양수산 분야 탄소중립 정책 _45
제1절 탄소중립 주요 추진 방향 45
제2절 블루카본 정책 및 추진 현황 48
1. 블루카본 개념 및 기능 48
2. 블루카본 정책 52
3. 블루카본 관련 사업 추진 현황 72
4. 향후 정책 방향 94
제3절 해상풍력 발전 정책 및 전망 96
1. 해상풍력 발전 산업 개발 현황 97
2. 해상풍력 발전 정책 99
3. 해상풍력 발전 주요 사례 126
4. 쌍탄 목표 하의 해상풍력 발전 산업 전망 131
04 중국의 어업 분야 탄소중립 정책 _137
제1절 어업 탄소싱크 정책 137
1. 모색 단계(2011-2014년) 138
2. 시작 단계(2015-2019년) 139
3. 발전 단계(2020년-현재) 140
제2절 어업 탄소싱크 발전 현황과 주요 발전 모델 143
1. 어업 탄소싱크의 개념 143
2. 어업 탄소싱크 발전 현황 144
3. 주요 어업 탄소싱크 발전 모델 151
제3절 평가 및 향후 정책 방향 155
1. 평가 155
2. 향후 정책 방향 157
05 중국의 해운·항만 분야 탄소중립 정책 _161
제1절 해운·항만 분야 탄소중립 정책 163
1. 탄소중립 목표 제시 이전의 정책 163
2. 탄소중립 목표 제시 이후의 정책 165
제2절 탄소중립 추진 방식 및 사례 167
1. 노후선박 퇴출 및 선박 대형화 촉진 167
2. 선박의 육상전원 사용 168
3. 컨테이너 트랜스퍼 크레인 연료의 전기 전환 172
4. 완전 전력 자동화 컨테이너 부두 174
5. 전동 예인선 개발 및 응용 178
6. 신에너지・청정에너지 개발 및 응용 181
제3절 평가 및 향후 정책 방향 184
1. 평가 185
2. 향후 정책 방향 189
06 시사점 및 한․중 협력방안 _193
제1절 한국 관련 시사점 193
1. 해양 분야 193
2. 어업 분야 197
3. 해운·항만 분야 199
제2절 한중 협력 방향 201
1. 해양 분야 201
2. 어업 분야 204
3. 해운·항만 분야 206
참고문헌 _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