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KIEP 연구보고서 20-16Changes of Economic Policies of GCC Countries in the Era of Low Oil Prices and Their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
저유가시기 GCC 주요국의 경제정책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
- 발행사항
- 세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
- 형태사항
- 217p 도표 24cm
- 총서사항
- KIEP 연구보고서 20-16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77-199)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6379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637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론
3. 연구의 구성 및 차별성
제2장 저유가 시기 GCC 경제의 특성과 중장기 경제계획
1. 저유가 시기 GCC 경제의 특성
2. 국가별 중장기 경제계획
가. 사우디아라비아
나. UAE
다. 쿠웨이트
라. 카타르
마. 오만
바. 바레인
3. 시사점
제3장 산업정책: 기술혁신 역량 강화와 디지털 전환
1. 기술혁신 역량 강화
가. 국가별 혁신지수 비교
나. 사우디아라비아
다. UAE
2. 디지털 전환 및 관련 신산업 육성
가. 디지털 정부 추진
나. 석유 부문 디지털 전환
다. 디지털 기술 기반 신산업 육성
3. 스타트업 지원 강화
가. 사우디아라비아
나. UAE
4. 기술혁신 협력사례 및 시사점
제4장 고용정책: 자국민 고용 확대와 직무역량 제고
1. 자국민 고용 확대
가. 자국민 의무고용 강화
나. 민간부문 고용환경 개선
2. 직무역량 제고
가. 직업훈련 프로그램 강화
나. 직무역량 제고를 위한 해외 협력 사례
3. 시사점
제5장 통상ㆍ투자 정책: 현지 생산 및 조달 확대
1. 관세율 인상
가. GCC의 관세동맹 체결 및 FTA 추진
나. 사우디아라비아의 관세율 인상
2. 비관세조치 증가
가. 수입규제조치
나. 기술적 조치
3. 현지 생산 및 조달 확대
가. 외국인직접투자 유치 활성화
나. 현지화 제도 강화
4. 시사점
제6장 저유가 시기 한ㆍ중동 경제협력 확대를 위한 한국의 대응방안
1. 분석 내용과 시사점 종합
2. GCC 국가 진출기업의 애로사항 및 정책수요
3. 저유가 시기 경제협력 확대방안
가. 코로나19 상황과 연계한 디지털 협력 강화
나. 현지 노동력의 생산성 향상 프로그램 확대
다. 현지 투자 확대를 위한 지원 플랫폼 구축
참고문헌
부록
1. GCC 국가 진출기업의 애로사항 및 정책수요 관련 설문
2. GCC 국가 진출기업 대상 심층인터뷰 설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