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6401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640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디지털 플랫폼 시장 경쟁과 데이터 이동성
제1절 디지털 플랫폼 개념
제2절 디지털 플랫폼 경쟁과 데이터
1. 디지털 플랫폼과 데이터
2. 디지털 플랫폼과 전환비용
3. 데이터 이동성의 효과
제3장 데이터 이동성 도입 및 데이터 이동 기반 서비스 현황
제1절 주요국의 데이터 이동성 도입 현황
1. EU: 데이터 이동권(Right to data portability)
2. 미국: 접근권(Right to access)
3. 영국: 기업규제개혁법과 마이데이터(midata) 사업
4. 일본: 정보은행
5. 호주: 소비자데이터권리(Consumer Data Right)
6. 싱가포르: 데이터 이동성(Data Portability)
7. 우리나라: 신용정보전송요구권과 마이데이터 실증사업
제2절 데이터 이동 기반 서비스 현황
1. 기업의 자율적인 데이터 이동성 도입: 데이터 전송 프로젝트
2. 특정 산업 분야 중심의 데이터 이동성 도입
3. 개인 데이터 공유 및 거래 플랫폼 방식
제4장 디지털 플랫폼 전환행동 및 데이터 이동성에 대한 선호 분석
제1절 디지털 플랫폼 이용 현황 및 데이터 이동성 이용 의향
1. 설문개요
2. 데이터 이동성에 대한 인식 및 이용의향
3. 디지털 플랫폼 서비스 이용현황 및 전환경험
제2절 전환비용 추정과 데이터 이동성 선호 실증분석
1. 디지털 플랫폼 서비스의 전환비용 추정
2. 데이터 이동성에 대한 선호분석
제5장 데이터 이동성에 대한 디지털 플랫폼 기업 전문가 인터뷰
제1절 디지털 플랫폼 경쟁과 데이터 이동성의 영향에 대한 의견
1. 디지털 플랫폼에서의 전환비용과 시장 경쟁 상황
2. 데이터 이동성 도입의 효과
제2절 데이터 이동성의 도입 방식에 대한 의견
제6장 결론
1. 증거 기반의 정책(evidence based policy) 수립
2. 개인정보보호법에서의 데이터 이동성 개념 도입 및 제도적 불확실성 제거
3. 데이터 이동성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메커니즘 설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