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KIET 연구보고서 2019-915Long-term Forecasting the Korean Shipbuilding Indusgry and Implication
한국 조선산업의 중장기 전망과 정책과제
- 발행사항
- 세종 산업연구원 2019
- 형태사항
- 185p. 도표 24cm
- 총서사항
- KIET 연구보고서 2019-915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78-182)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5567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556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조선산업의 장기 전망을 기반으로 산업경쟁력 유지를 위한 정책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구조조정을 지속하고 있는 ① 우리나라 조선산업 시장에 미치는 요인과 영향을 분석하고 ② 중장기 조선 시장 전망과 우리나라 조선산업의 경쟁력을 분석한 후 ③ 산업경쟁력 유지 차원에서의 정책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2장 조선산업 변동 요인 및 영향 분석
1. 변동 요인 및 영향 분석의 필요성과 의미
2. 조선산업 변동 요인과 장기 전망 선행연구
(1) 조선 시황의 주기와 경제모형
(2) 조선 시황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고려사항
(3) 시스템 분석을 통한 주요 요인 영향 분석
(4) 주요 조선 장기 전망 선행연구
3. 중장기 전망을 위한 모형과 방법론 제시
(1) 전망 방법론 선정에서 선종 구분의 필요성
(2) 유조선, 컨테이너선, 벌크선 시장 전망을 위한 경제모형
(3) 소수 프로젝트에 의존하는 LNG운반선의 특성 분석과 전망 모형
제3장 세계 조선산업 주요 선종별 중장기 전망
1. 유조선, 컨테이너선, 벌크선 중장기 전망
(1) 유조선 중장기 전망
(2) 컨테이너선 중장기 전망
(3) 벌크선 중장기 전망
2. LNG운반선 중장기 전망
3. 기타 선박 및 해양플랜트 중장기 전망
4. 세계 조선산업 중장기 전망 종합
제4장 국내 조선산업의 장기 전망 및 적정 규모
1. 국내 조선산업의 중장기 전망
(1) 국내 조선산업 중장기 전망 방법
(2) 국내 조선산업의 시장점유율 전망
(3) 주요 선종별 선형별 시장 분석
(4) 국내 조선산업의 건조 전망
2. 국내 조선산업 적정 규모와의 비교
제5장 중장기 변동성 대응 정책과제
1. 기업의 전략적 대응 방향
(1) 경쟁력 제고
(2) 변동성 리스크 대응
2. 변동성 대응 정책과제
(1) 적정 규모에 맞춘 강건한 생태계 구축
(2) 중장기 비전과 발전방안 설정
(3) 중장기 전망과 경쟁력 분석의 정례화 및 장기적인 전문가의 육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