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KIEP 연구보고서 21-35Major changes in economic system in the post-corona era: Focusing on climate crisis, digital platform, human resources and fiscal sustainability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해외 주요국의 경제체제 중요 요소 변화: 기후위기, 디지털플랫폼, 인적자원 및 국가채무를 중심으로
- 발행사항
- 세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1
- 형태사항
- 230p. 도표 그래프 25cm
- 총서사항
- KIEP 연구보고서 21-35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7216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721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기후위기와 지속가능한 자본주의
1. 서론: 글로벌 자본주의와 지구환경
2. 오존층 파괴와 몬트리올 의정서의 사례
3. 산업화와 기후위기
4. 공평하고 차별화된 책임
5. 공정한 감축의무의 할당: 평등한 권리와 역사적 책임
6. 공정한 할당과 교토 의정서
7. 공유자원의 공정한 글로벌 거버넌스
제3장 해외 주요국 온라인플랫폼 규제의 현황과 평가
1. 도입
2. 온라인플랫폼 산업의 특징
3. 온라인플랫폼 산업 규제의 이론적 근거
4. 해외 주요국의 규제 현황
5. 온라인플랫폼 규제 근거에 대한 평가
6. 소결
제4장 평생교육과 직업훈련의 결합: 해외사례 연구
1. 도입
2. OECD 주요 국가별 성인들의 평생학습 및 직업훈련 참여
3. 평생 직업능력개발 체계의 해외 사례들
4. 정책적 함의
5. 소결
제5장 국가채무의 부담능력에 대한 국제비교
1. 도입
2. 적정 국가채무비율에 대한 논의
3. 채무 지속가능성을 판단하는 기준과 조건
4. 국가신용도와 재정의 지속가능성 실증분석
5. 소결 및 정책적 시사점
제6장 결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