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KIET 연구보고서 2020-06Trade Policy Changes and Industrial Impacts due to the U.S.-China Trade War
미중 무역전쟁에 따른 통상정책 변화와 산업 파급효과
- 발행사항
- 세종 산업연구원 2020
- 형태사항
- 195p. 도표 24cm
- 총서사항
- KIET 연구보고서 2020-06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75-177) 수록
- 키워드
- 산업정책, 무역분쟁, Industry Policy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6444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644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머리말
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주요 연구 내용
제2장 한ㆍ미ㆍ중 3국의 교역 동향
1. 미중과 주요국 간 교역 동향
2. 한국의 대미ㆍ대중 수출입 동향
제3장 무역분쟁의 주요 이슈 및 1단계 합의 내용
1. 미중 무역분쟁의 주요 이슈
(1) 상호 보복관세 부과
(2) 신기술 선점 패권경쟁
(3) 환율조작국 지정 및 금융 제재
(4) 홍콩보안법 사태
2. 무역협상 1단계 합의 내용
(1) 무역수지 조정
(2) 관세 조치 관련
(3) 지식재산권 및 기술이전
(4) 금융서비스
(5) 거시정책 및 환율정책
제4장 미중 무역분쟁의 업종별 영향 실증분석
1. 관세 부과에 따른 수출 효과 분석
(1) 관세 부과에 따른 파급 경로
(2) 수출 효과 분석 모형
(3) 수출 효과 분석 결과
2. 미국의 관세 부과에 따른 업종별 수입 및 무역전환 효과
(1) 자료 설명
(2) 실증분석 모형
(3) 관세 부과에 따른 수입 및 무역전환 효과
(4) 관세 부과의 시기별 효과
(5) 업종별 수입 및 무역전환 효과
3. 중국의 관세 부과에 따른 업종별 수입 및 무역전환 효과
(1) 관세 부과에 따른 수입 및 무역전환 효과
(2) 관세 부과의 분기별 효과
(3) 업종별 수입 및 무역전환 효과
4. 미중 간 관세 부과의 대한국 수출 및 무역전환 효과
(1) 한국의 수출 효과 분석
(2) 업종별 무역전환 효과
5. 분석 결과 종합 및 소결
제5장 무역분쟁의 산업영향에 대한 업계 실태조사
1. 실태조사 개요
(1) 조사의 목적과 필요성
(2) 조사 설계 및 내용3
2. 기업 일반 현황
(1) 종사자, 매출액, 영업이익 현황
(2) 생산 및 수출입 현황
(3) 교역 경험 및 성과 만족도
3. 미중 무역분쟁의 전반적 영향 평가
(1) 미중 갈등의 전반적 영향
(2) 무역분쟁의 피해 규모와 일반적 형태
4. 무역분쟁의 세부적 영향 평가-미국시장
(1) 수출 1순위 품목 기준 수출액 및 시장점유율
(2) 무역피해 원인과 유형
5. 무역분쟁의 세부적 영향 평가-중국시장
(1) 수출 1순위 품목 기준 수출액 및 시장점유율
(2) 무역피해 원인과 유형
6. 정책 지원 방안, 업계 자구노력, 경쟁력 강화 방안
(1) 무역피해 최소화를 위한 정책 방안
(2) 무역피해 최소화를 위한 업계 자구노력
(3) 무역피해 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의 실효성
7. 실태조사 요약 및 소결
제6장 맺음말과 통상정책 제안
1. 종합 결론 및 맺음말
2. 통상정책 제안과 추진 과제
참고문헌
부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