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보고서KIET 연구보고서 2019-913Understanding Industrial Jobless Growth: Decoupling Sectoral Ooutput and Emplyment

고용 없는 성장의 특성 및 산업별 분석

단체저자
산업연구원 | KIET
발행사항
세종 산업연구원 2019
형태사항
156p. 도표 24cm
총서사항
KIET 연구보고서 2019-913
서지주기
참고문헌(p.129-133)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P425678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P42567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제1장 연구의 배경 및 목표 1. 자동화로 인한 생산방식의 급격한 변화 2. 기술의 노동 대체에 대한 역사적 우려 3. 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 (1) 인구 감소를 상쇄하는 고용 증가 요인 (2) 제조업 고용 감소를 상쇄하는 고용 증가 요인 4. 연구 목표: 기술발전으로 인한 고용 변화에 대한 이해 제2장 산업별 생산과 고용의 변화 1. 고용 하락의 세 가지 유형 2. 실증분석 대상 및 방법 (1) 분석 개념: 생산과 고용의 탈동조화 (2) 분석방법과 데이터: 산업별 생산 및 고용변수 3. 거시경제: 생산과 고용의 동반 성장 4. 산업 대분류: 고용 없는 성장 산업 5. 탈동조성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제3장 경제 이론적 이해 1. 일반균형 모형 (1) 최종재 시장: 소비 집합 (2) 중간재 시장: 산업별 생산 (3) 노동시장: 최적 산업 선택 (4) 일반균형 2. 기술발전으로 인한 고용 없는 성장 (1) 주요 모수 (2) 고용 없는 성장의 두 가지 조건 (3) 노동 절약 기술로 인한 고용 증가: 탄력적 상품 수요 (4) 노동 친화 기술로 인한 고용 감소: 비탄력적 상품 수요 제4장 제조업의 고용 없는 성장 1. 미국 제조업의 고용 감소 2. 우리나라 제조업의 고용 없는 성장 3. 고용 없는 성장을 견인한 세부 산업 (1) 전 사업체 데이터 (2) 10인 이상 사업체 데이터 (3) 소결 제5장 제조업 고용 없는 성장의 원인 분석 1. 생산과 고용의 탈동조성 분석 설계 (1) 분석 대상 (2) 전자기기 제조업과 운송기기 제조업 비교 (3) 회귀 분석용 데이터 2. 생산 함수 미가정 회귀 분석 3. 생산 함수 가정 회귀 분석 제6장 결론 및 정책적 제언 부록 1. 대체가설 검토를 위한 변수 확인 2. 추가 회귀 분석-다른 종속변수 3. 추가 회귀 분석 - 무역 국가 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