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23-13
탄소중립 혁신 기술 투자 지원방안 연구
- 연구참여자
- 최영선
-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23
- 형태사항
- xii 146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23-13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37-146)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7657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7658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765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765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내용
제2장 탄소중립 혁신 기술의 정의 및 범위
1. 탄소중립 혁신 기술의 정의 및 범위
2. 우리나라 탄소중립 혁신 기술 선정 배경
제3장 주요국의 탄소중립 혁신 기술 투자 지원 메커니즘 분석
1. 미국
1.1. 기술개발 지원: 美 에너지부의 청정에너지 기술 RD&D 예산 확대
1.2. 조세 지원: IRA
1.3. 금융 지원: 美 DoE의 대출 프로그램
2. EU
2.1. 기술개발 지원: Horizon Europe
2.2. 기술개발 지원: EU 혁신기금
2.3. 법·제도적 지원: 탄소중립산업법
3. 일본
3.1. 기술 혁신 지원 로드맵: 녹색성장전략
3.2. 기술개발 지원: 녹색혁신기금
3.3. 종합적 지원 제도: GX 추진 전략
4. 한국
4.1. 기술개발 지원: 산업부문 탄소 배출 저감 기술 개발
4.2. 조세 지원: 투자세액공제
4.3. 금융 지원
4.4. 기후대응기금
5. 소결
제4장 국내 탄소중립 혁신 기술 관련 재원 투자 현황
1. 분석 대상 및 정의
1.1. 국가 기후기술 분류 체계
1.2. 탄소중립 혁신 기술 관련 정부 예산 출처
2. 기후기술 분야 국가 R&D 투자 현황 분석
2.1. 기후기술 분야 국가 R&D 투자 추이
2.2. 예산 출처별 기후기술 R&D 투자 현황
2.3. 기술별 기후기술 R&D 투자 현황
2.4. 중점 사례연구
3. 소결
제5장 탄소중립 혁신 기술 개발 및 투자 시 장애요인 및 향후 추진 방향
1. 탄소중립 혁신 기술 개발 및 투자 시 장애요인 (선결과제)
1.1. 탄소중립 혁신 기술 연구 개발 시 애로사항
1.2. 탄소중립 혁신 기술 투자 시 애로사항
2. 우리나라 탄소중립 혁신 기술 개발 및 투자 추진 방향
2.1. 정부 정책의 불확실성 및 체계성 부족 문제 대응 방안
2.2. 기술개발 및 투자 시 기술적 불확실성 및 사업성 부족 문제 대응 방안
2.3. 부족한 R&D 재원 문제 대응 방안
3. 소결
제6장 결론 및 시사점
참고자료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