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연구보고서KEEI 기본연구보고서 23-21
에너지부문의 파리협정 격년투명성 보고서(BTR) 작성 기반 구축 연구(3/3)
Biennial Transparency Report of the Paris Agreement on
- 연구참여자
- 신선연
-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23
- 형태사항
- xix 122p
-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23-21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19-122)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자료실 | P427673 | 대출가능 | - | |
자료실 | P427674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767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767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요약
제1장 서론
1.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내용 및 범위
제2장 정책 및 조치별 효과 보고를 위한 주요 고려사항
1. 파리협정 투명성 체계 관련 규정 측면
1.1. 파리협정 투명성 체계 개요
1.2. 정책 및 조치별 정보에 대한 BTR 보고사항
1.3. 제출된 BTR 정보들의 기술 검토
1.4. 파리협정 기술 검토의 주요 특성
2. 효과 추정 및 관리를 위한 실무 측면
2.1. 효과 추정 및 관리 방법론 개요
2.2. 기존 UNFCCC 검토체계에서의 실무 검토기준
3. 요약 및 시사점
제3장 UNFCCC 국가보고서 기술 검토 사례 분석
1. 선진국 국가보고서 검토수행지침
1.1. 검토수행지침(RPG2022) 개요
1.2. 공통 부문 검토지침 및 이슈(공통이슈)
1.3. 정량화된 경제 전반의 감축목표 및 달성 이행 관련 사항
2. 주요 선진국 국가보고서 기술 검토 사례
2.1. 유럽연합 (EU)
2.2. 스위스
2.3. 영국
2.4. 뉴질랜드
2.5. 일본
2.6. 소결
3. 우리나라 국가보고서 기술 분석 사례
4. 요약 및 시사점
제4장 달성(Achieved) 감축 효과 보고를 위한 사례 분석
1. UNFCCC 보고체계에서의 사례
1.1. 선진국 보고체계 검토수행지침(RPG)
1.2. 개도국 NAMA 논의사례
1.3. 바르샤바 체제 REDD+ 사례
2. 세부 절차 및 방법론 관련 벤치마크 사례
2.1. 정책 및 조치의 정의
2.2. 정책 및 조치에 따른 감축 효과의 식별
2.3. 사전(ex ante) 감축 효과의 추정
2.4. 정책 및 조치 별 성과 지표 설정 및 모니터링
2.5. 사후(ex post) 감축 효과의 추정
2.6. 예상(expected) 감축 효과
3. 국내 산업부문 감축 효과 산정사례
3.1. 공통사항
3.2. 에너지진단 의무화제도
3.3. 에너지사용 계획 협의 제도
3.4. 에너지 소비 효율 등급 표시제도
3.5. 고효율 에너지 기자재 인증제도
4. 요약 및 시사점
제5장 BTR 작성 기반 구축을 위한 방안
1. 정책 및 조치 부문의 효과적 보고를 위한 여건 분석
1.1. 온실가스 감축 정책 측면
1.2. 보고 및 검토 측면
1.3. 효과 추정 측면
2. BTR 작성 기반 구축을 위한 세부 방안
2.1. 기본원칙 설정
2.2. 정책 및 조치 목록 관리
2.3. 효과 추정을 위한 관리 요소 도출
2.4. 실무적·행정적 부담 대응 방안
3. 정책 제언: 투명성 향상을 위한 촉진적 개선 체계 구축
3.1. 필요성 및 핵심과제
3.2. 세부 정책 제언
제6장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