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보고서(전자자료)NEW

미-아세안 무역·투자 구조와 상호관세: 협상 전망과 시사점

카테고리
국내자료
단체저자
KEIP
발행기관
KEIP
발행년월
2025.08
페이지수
23p
URL
요약
트럼프 행정부는 무역적자 해소를 목표로 무역수지에서 적자를 보이는 국가들에 대해 고율의 상호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을 시행하였다. 이에 따라 아세안 회원국 중 싱가포르를 제외한 9개국이 상호관세 대상국으로 지정되었으며, 이들 국가에 적용된 평균 관세율은 35.5%에 달한다. 이러한 조치는 미국과 아세안 간의 무역·투자 관계에 새로운 장벽을 형성하며, 특히 일부 아세안 국가가 중국의 대미 우회 수출 통로로 활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통상 현안으로 급부상하게 되었다. 아세안의 대미 무역흑자를 가공단계별로 분석해보면 자본재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 내 생산과 가공을 위한 아세안 제품 수입이 주요 원인임을 시사한다. 또한 소비재 역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미국이 부과한 고율의 상호관세는 최종적으로 미국 소비자들에게 비용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결국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조치는 미국 내 제조업과 소비자 모두에게 부담을 주는 동시에, 미-아세안 간 통상 갈등을 심화시킬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