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신착자료

신착자료

단행본Going to extremes how like minds unite and divide

우리는 왜 극단에 끌리는가

발행사항
서울 : 프리뷰, 2011
형태사항
238 p. ; 22 cm
주제명
극단 주의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207277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207277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빠져드는 집단사고의 위험성을 경고한다
‘넛지’‘루머’에 이은 선스타인교수 화제의 신간


1930년대 파시즘이 부상한 것을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60년대 과격학생운동의 등장은? 90년대 이슬람 테러리즘이 기승을 부린 것은? 94년 르완다에서 자행된 인종청소는? 옛 유고연방에서 벌어진 민족갈등은? 아부그라이브 수용소에서 미군이 자행한 고문과 가혹행위는? 그리고 2008년에 일어난 금융위기는?

저자는 이런 절름발이 행동의 정체를 집단극단화 개념으로 풀어낸다. 저자가 제시하는 명제는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한데 모여 폐쇄적인 의견을 나누면 더 극단적인 입장으로 빠져든다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종교단체, 기업, 투자클럽, 국가지도자 등 우리 사회의 거의 모든 분야에서 공통적으로 목격된다. 언론과 인터넷 토론방, 심지어 법정에서까지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극단주의를 키운다.

폐쇄성이 극단화를 키운다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이고 ‘넛지’와 ‘루머’등 세계적인 베스트셀러를 잇달아 발표한 저자는 이러한 극단주의는 인터넷시대에 들어 더욱 더 극렬해지고 있다고 설명한다. 인터넷 토론방이 극단주의자들을 끌어모으고, 이들의 사고와 행동을 더욱더 극단화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테러리즘이 인터넷에서 서식하고 증식하며 극단화 학습과정을 거친다고 저자는 밝힌다. “이슬람 테러리즘은 테러에 동조하는 사람들이 모이는 외부환경이 위험해짐에 따라 새롭고 안전한 소통방식을 찾아 인터넷으로 모여들게 되었다. 2004년까지는 직접소통이 테러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이제는 인터넷이 더 중요한 자리를 맡게 되었다. 인터넷을 이용한 자발적인 자기조직화가 이루어진 것이다. 채팅방을 비롯한 여러 인터넷 포럼들이 많은 이슬람 젊은이들로 하여금 이슬람 테러에 가담하려는 마음을 갖도록 고무시키고 있다.”

인터넷에서 증식하는 테러리즘
이들은 자신의 입장과 잘 들어맞는 토론방을 선택하고, 자기 생각과 다른 방은 버리고 떠나면서 동질감을 확인하고 분노를 키운다. 테러리즘의 입장에서 보면 이러한 현상은 ‘지도자 없는 지하드’와 같은 결과를 낳고 있다.

이런 집단에선 온건한 입장을 가진 구성원은 밀려나고 열렬한 신봉자들만 남는데, 이렇게 되면 정말 위험한 상황이 벌어지게 된다. 이런 집단에서는 구성원간의 애정과 연대감이 최우선시 되고, 폐쇄적인 극단주의가 만개한다.

2008년 서브프라임 위기에 이어 세계경제를 강타한 금융위기도 부분적으로는 극단화로 설명된다. 부동산 가격은 반드시 오른다는 잘못된 믿음이 거품을 만들고, 사회적 전염을 불러와 결국 재앙으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주가폭등과 폭락도 이러한 극단화의 산물이라고 저자는 진단한다.

다양성과 표현의 자유가 해답
극단주의를 이기는 것은 다양성과 표현의 자유로 무장한 민주적인 문화라고 저자는 강조한다. 링컨 대통령의 재임기간은 건강한 ‘라이벌들의 팀’Team of Rivals이 이끌었다. 링컨은 자신의 생각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는 다양한 입장을 가진 사람들을 의도적으로 선택하고, 이들의 주장을 경청해 가장 합리적인 판단이 나오도록 했다. 반면에 부시행정부는 ‘라이벌 아닌 사람들의 팀’Team of Unrivals을 만들었고, 내부다양성이나 반대의견은 충성심 부족으로 간주되어 억제되었다. 그 결과 이라크전 등에서 집단극단화가 만개했고, 부시행정부내 지도자들은 그에 맞설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극단주의와 자기확신이 일사불란함만을 부추긴 것이다.

저자는 표현의 자유가 보장된 시스템, 다양성, 견제와 균형이 극단화를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극단적인 입장을 가진 사람들이 이들의 생각에 문제가 있다고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들에 의해 제지를 받는 시스템이 갖춰져야 한다는 것이다. 국가와 기업 모두 내부의 견제와 균형이 이루어질 때 성공으로 나아갈 수 있다고 이 책은 강조한다.
목차
제1장 극단의 정체 제2장 극단화는 왜 일어나는가 제3장 극단의 메커니즘 제4장 극단주의를 어떻게 막을 것인가 제5장 착한 극단주의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