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 연구보고서
시장주도형 수소경제 조기 정착을 위한 전략 연구(1/3)
- 카테고리
- 기본연구보고서
- 연구책임자
- 김재경
- 발행연도
- 2020
- 페이지
- ix ix 122p.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17-122) 수록
- 총서명
- KEEI 기본연구보고서
- 총서번호
- 20-26
- 주제어
- 에너지정책, 수소산업, 수소에너지, Hydrogen, Hydrogen industry
소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 따라 우리나라는 2022년까지 정부 주도로 수소차 및 연료전지 보급, 인프라 구축 등을 추진해왔다. 그러나 2023년부터는 정부 중심의 추진 방식에서 벗어나, 민간자본 유치를 통해 시장 주도형 수소경제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는 제한된 정부 재정으로는 지속적인 확산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며, 민간투자를 통해 자생적 수소시장 기반을 조성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수소경제의 민간주도 전환을 준비하기 위한 전략 수립의 일환으로, 생산방식별 균등화 수소원가(LCOH)를 산정하여 수소 가격 경쟁력 확보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수소경제 전환의 핵심은 수소 가격의 경제성 확보에 있으며, 본 연구는 민간의 투자결정에 실질적인 기준이 되는 수소 생산비용 분석을 통해 정책적 시사점과 시장환경 조성 방향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수소경제 이행을 위한 수소가격 정책 	
1. 경쟁가능한 수소가격의 필요성	
  1.1.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의 주요내용	
  1.2. 수소경제 이행을 위한 경쟁가능한 수소가격의 필요성	
2. 국내 수소가격 정책 현황	
  2.1.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의 수소가격 목표와 달성 전략	
  2.2. 수소 기술개발 로드맵의 수소가격 목표와 달성 전략	
  2.3. 적정 수소가격 유지를 위한 수소거래소 설립 및 운영	
3. 국내 수송용 수소가격 현황	
제3장 해외 수소 생산비용 현황	 
1. 개관	
2. 세계 수소생산 비용 현황	
  2.1. 국제에너지기구(IEA) 산정 세계 수소생산 비용 현황	
  2.2. 국제 신재생에너지기구(IRENA) 산정 세계 수소생산 비용 현황	
  2.3. Bloomberg 산정 세계 수소생산 비용 현황	
3. 지역별 수소생산 비용 현황	
  3.1. 미국의 수소생산 비용 현황	
  3.2. 유럽의 수소생산 비용 현황	
  3.3. 호주의 수소생산 비용 	
4. 해외 수소 생산비용 사례 종합	
제4장 국내 수소 생산비용 분석과 전망
1. 국내 수소 생산비용 분석과 전망 개관	
2. 천연가스 추출방식의 균등화 수소원가(LCOH)	
  2.1. 천연가스 추출방식 개관	
  2.2. 천연가스 추출방식의 균등화 수소원가(LCOH) 산정 작업	
    2.2.1. 천연가스 추출방식의 균등화 수소원가 산정의 기본 전제	
    2.2.2. 천연가스(도시가스) 가격 현황 및 전망	
  2.3. 천연가스 추출방식의 균등화 수소원가(LCOH) 산정 결과	
3. 수전해 방식의 균등화 수소원가(LCOH)	
  3.1. 수전해 방식 개관	
  3.2. 수전해 방식의 균등화 수소원가(LCOH) 산정 작업	
    3.2.1. 수전해 방식의 균등화 수소원가 산정의 기본 전제	
    3.2.2. 수전해용 전기요금 개관	
    3.2.3. 전력시장 시뮬레이션 모형(M-Core) 기반 SMP 장기전망	
    3.2.4. REC 장기전망	
    3.2.5. 수전해용 전기요금 적용	
  3.3. 수전해 방식의 균등화 수소원가(LCOH) 산정 결과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1. 연구내용 요약	
2. 정책제언	 
  2.1. 수소생산용 천연가스 제세공과금 인하	
  2.2. 제3자 PPA 지원을 위한 수전해 전용 재생에너지 
        전기요금 체계 마련	
참고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