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I 연구보고서
E-mobility 성장에 따른 석유·전력·신재생에너지 산업 대응 전략 연구(전력) (4/4)
- 카테고리
- 기본연구보고서
- 발행연도
- 2022
- 페이지
- xi 95p.
- 서지주기
- 참고문헌(p.91-97) 수록
- 총서명
- KEEI 기본연구보고서
- 총서번호
- 22-24-02
소장정보
|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 이용 가능 (2) | ||||
| 자료실 | P427428 | 대출가능 | - | |
| 자료실 | P427429 | 대출가능 |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P42742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 등록번호
- P42742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소개
2050년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수송 부문에서 친환경차 보급 비중을 85% 이상으로 확대해야 하나, 현재 전기차 보급 실적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보급 목표 자체에는 집중하고 있지만, 충전 인프라 확산 등 실사용자의 편의성 제고 전략이 미흡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한, 전기차 충전 부하가 전력 계통에 미치는 영향을 선제적으로 파악하고 대응 전략을 마련하는 것도 중요하다. 전기차 보급과 재생에너지 확대가 맞물리면서 계통에 새로운 부담과 부하 패턴 변화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반영한 계시별 요금제 등 계통 운영 전략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이전(3차 연도)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여, 전국 단위가 아닌 지자체별 경쟁력 차이를 반영하고, 계절별 부하 패턴까지 분석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대응 전략을 제시한다. 아울러, 전기차 충전 인프라 보급 전략을 구체화하고, 이로 인한 계통 편익을 정량적으로 산출함으로써 정책 실행의 실효성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지역별 전기차 경쟁력 분석: 총소유비용 방법을 중심으로 
1. 국내외 현황 및 문제점 
2. 지역별 총소유비용 분석 
2.1. 총소유비용 개념 
2.2. 모형 및 입력자료 
2.3. 총소유비용 분석 결과 
3. 스마트 충전 인프라 사례 
3.1. 기존 전력망 및 교통 인프라 활용 사례 
3.2. 수요에 기반한 전기차 인프라 계획 수립 
제3장 E-mobility 증가에 따른 전력산업 대응 전략:전기차와 계통의 원활한 통합 
1. 순부하 기반 전기차 충전요금제의 설계 
1.1. 2030년 순부하 패턴 전망 및 분석 
1.2. 순부하를 고려한 계시별 요금제 부하 시간대 조정안 
2. 충전 의사결정 모형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2.1. 충전 의사결정 모형 
2.2. 시뮬레이션 결과 
제4장 전기차와 계통 통합 영향 평가 
1. 선행연구 
2. 전기차 보급에 따른 전력시장 영향 시나리오 분석 
2.1. 기초자료 전제 및 시나리오 구성 
2.2. 2030년 전력계통 모의 시나리오 분석 결과 
2.3. 계시별 충전요금제의 부하이전 편익 산정 
제5장 결론 
참고문헌





